Nursing student :: 근육계통 정리

근육계통 정리

반응형

7.1 근육계통의 기능

몸의 움직임: 우리 몸 움직임의 대부분은 근육의 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신경의 지배를 받음)

자세유지

호흡

열 발생

의사소통 ex)말하기, 쓰기, 몸짓, 얼굴표정 등으로 의사소통에 관여

혈관과 소화기관의 수축 ex)음식물과 물이 이동

심장의 수축 ex)심장근육의 수축은 혈액을 내뿜는 역할

 

7.2 뼈대근육의 특징

수축성: 길이가 짧아지는 것

흥분성: 자극에 의해 뼈대근육이 반응할 수 있는 능력

확장성: 뼈대근육이 늘어나는 것

탄력성: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것

 

[뼈대근육의 구조]

<근육을 덮고 있는 결합조직>

-각각의 뼈대근육은 근육바깥막(근막)이라는 결합조직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근육다발막에 둘러싸인 근육다발 묶음들이 근육을 형성하며, 근육다발은 근육섬유(근육세포)로 구성된다.

각각의 근육섬유는 근육섬유막이라는 결합조직에 둘러싸여 있다.

 

*근육바깥막(근막)->근육다발막->근육다발->근육섬유(근육세포)->근육원섬유(액틴/미오신 잔섬유)

 

<근육섬유의 구조>

-근육섬유를 싸고 있는 막을 근육세포막 이라함. 여러 개의 핵들은 근육세포막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다.

-근육세포막 표면을 따라 가로세관 이라는 구조가 있어 일정한 간격으로 근육섬유를 따라가거나 근육섬유

속으로 파고들기도 한다. 가로세관은 무과립속형질그물이 고도로 발달한 형태인 근육세포질그물과 연결되어,

근육세포막과 근육세포질그물을 서로 연결시킨다.

-근육세포질그물 (골격근세포-무과립세포질그물(칼슘 저장))은 근육수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칼슘 이온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근육섬유의 끝을 서로 연결시키는 실 모양의 근육원섬유를 다수 가지고 있다.

근육원섬유는 액틴 잔섬유미오신 잔섬유라는 두 종류의 단백질 섬유이다. 이들은 매우 질서 정연하고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근육원섬유마디를 이루며, 근육원섬유를 서로 연결시킨다.

 

*근육이라는 것은

액틴 잔섬유+미오신 잔섬유가 만난 것이 근육원섬유

근육원섬유들을 모아서 한 묶음으로 묶은 것을 근육섬유(근육세포)

근육섬유를 하나로 묶은 것이 근육다발

근육다발을 한 묶음으로 묶으면 근육

 

<액틴 잔섬유와 미오신 잔섬유>

-얇은 액틴 잔섬유는 세 가지 성분, 액틴, 프로토닌, 트로포미오신으로 이루어짐. 액틴 잔섬유는 진주알

두 개를 엮어 놓은 모양을 하고 있고, 미오신 잔섬유가 부착하는 곳이다.

트로포닌은 칼슘이 결합하는 부위이다.

트로포미오신은 미오신 잔섬유가 액틴 잔섬유와 결합하는 부위를 가로막고 있다.

-두꺼운 미오신 잔섬유는 어려개의 골프채를 모아놓은 모양을 하고 있고 골프채 끝부분을 미오신 머리라고 한다.

미오신머리는 세 개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미오신 머리는 액틴 잔섬유에 있는 부착부위와 결합한다. (주기능)

수축하는 동안 미오신 머리가 굽혀진다. =>액틴이 서로 끌어당겨짐 (ATP필요), 떨어질때도 ATP필요

ATP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방출한다.

 

 

*액틴 잔섬유를 구성하는 3가지 단백질이 있다.

① 액틴 ② 트로포미오신 ③ 트로포닌

 

*미오신은 머리가 제일 중요한 부위임.

① 미오신 머리는 액틴과 결합함.

② 머리가 굽혀짐

③ ATP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방출함.

 

▼이해가 잘 안되면 참고해주세요

 

 

<근육원섬유마디>

-근육원섬유마디가 짧아지면 근육원섬유도 짧아져서 결국은 근육섬유가 수축하게 된다.

근육원섬유마디는 한 개의 Z원반에서부터 바로 곁에 있는 Z원반 사이이다. 각각의 Z원반은 액틴 잔섬유와

연결되어 그물같은 구조를 형성한다.

-밝은 I액틴 잔섬유만 있는 부위로, Z원반 및 미오신 잔섬유와 연결된다.

-근육원섬유마디의 가운데부분은 어두운 A부위로, 미오신 잔섬유의 길이와 같으며

액틴 잔섬유와 미오신 잔섬유는 A띠 양 끝부분에서 서로 겹쳐진다.

-근육원섬유마디의 한 가운데는 옅은 H부위로, 미오신 잔섬유로만 구성되며 두 번째로 밝은 부위이다.

-미오신 잔섬유의 끝은 근육원섬유마디의 중심에서 M을 형성하며 고정된다.

-반복되는 I띠와 A띠 때문에 현미경으로 뼈대근육을 관찰하면 줄무늬가 보인다.

 

 

*근육원섬유마디(액틴하고 미오신이 만나서 형성)

M선을 기준으로 두 개를 합쳐놓음. M선이 미오신의 막대부분을 합쳐서 고정시키는 역할.

액틴 잔섬유는 미오신 잔섬유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다.

액틴과 액틴이 만나는 부분이 Z원반

Z-Z가 있는 부분을 근육원섬유마디라고 함. 근육원섬유마디는 계속해서 일정한 배열로 이루어짐.

I띠: 액틴만 있는 부위. (Z원반 기준)

A띠: 미오신-미오신이 있는 부분 (미오신 기준)

H띠: A띠 안에서 액틴이 없는 부분=미오신만 있는 부분 (미오신 기준)

 

액틴잔섬유와 미오신잔섬유는 근육원섬유마디를 형성하는데

Z원반을 기준으로해서 액틴만 있는 부분을 I띠,

미오신이 구성되어있는 부분은 A띠,

A띠 중에서 완전 미오신만 있는 부분(=액틴이 없는 부분)을 H띠라고 함.

 

액틴잔섬유는 얇게 구성되어있음. 미오신은 두껍게 구성되어있음.

액틴은 얇기 때문에 밝게 보이고 미오신은 두껍기 때문에 어둡게 보임.

미오신과 액틴이 결합한곳은 미오신+액틴이므로 더욱더 어둡게 보임.

I띠 밝다.A띠 어둡다. 계속 반복 => 줄무늬처럼 보임. (액틴/미오신 섬유 때문에 생김.)

 

**액틴과 미오신의 길이는 수축을 해도 절대 변하지 않음. 간격이 좁아지는 것임.

 

[근육섬유의 흥분성]=>신경세포와 관련

-대부분 세포막의 안쪽은 바깥쪽과 비교했을 때 음성 전하를 띠고 있다. 즉 세포막은 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전기적 차이를 안정막전위라하고 극이 바뀌면 탈분극, 다시 안정막전위로 돌아가는 변화를

재분극이라 한다. 세포막의 빠른 탈분극과 재분극을 활동전위라고 한다.

 

[나트륨-칼륨]

세포막의 빠른 탈분극과 재분극이 나타나는것 : 활동전위

 

 

[신경분포]

-뼈대근육섬유는 운동신경세포에서 비롯된 자극에 의해서만 수축할 수 있다.

운동신경세포의 축삭은 근육섬유와 신경이음부를 형성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연접이다.

-운동단위가 적으면 적을수록 정밀하게 운동을 조절할 수 있음. ex)-정교함

많으면 ex)허벅지-근육의 움직임 같은 큰 힘을 냄.

 

 

 

 

-신경근육이음부는 부풀은 축삭종말이 근육세포막에 무리지어 함입한 형태를 지닌다. 부풀은 축삭종말을

연접전종말 이라고 한다. 연접전종말까지 전류가 흐른다.

근육섬유막연접이후막이라고 한다. (근육세포에서만)

-연접전종말과 근육세포막(연접이후막)이 만나는 것이 연접이라고 함. 그런데 딱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떠 있 다. 그 연접전종말과 근육섬유막 사이 공간을 연접틈새라고 한다.

연접을 기준으로 연접전종말(=연접이전막), 연접이후막(=근육세포막)으로 나눈다.

-연접전종말은 연접소포라는 작은 소포를 많이 함유하며, 이 소포 속에 아세틸콜린(나트륨을 이동시킴)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들어 있어서, 연접전신경에서 분비되어 연접이후 세포를 자극하거나 억제한다.

**아세틸콜린: 나트륨 통로를 열어 세포외 나트륨이 세포내로 들어오도록 함

 

★★★신경근육이음부의 기능, 뼈대근육 수축과정의 원리★★★

 

근육을 수축하기위해서는 신경세포에서 전기적신호를 받아야 한다.

전기적신호는 탈분극 때 발생함.

 

축삭을 따라서 전달을 시켜줌. 축삭의 연접전종말부분까지 전류가 흐름.

 

어떤 자극이 주어지면 축삭을 따라서 전기적 신호가 뉴런에 의해 따라옴.

이 전류가 오게 되면 근육세포막에 있던 칼슘이 세포내로 들어옴. 칼슘이 세포내로 들어와 축삭종말에 있는

소포(신경전달세포-아세틸콜린)를 이동시켜 연접틈새로 분비시킨다.

분비시킨 아세틸콜린이 수용체 분자와 결합하여 나트륨통로를 연다.

 

**자극=>신호를 보냄=>축삭종말까지=>칼슘이 축삭종말내로 들어옴=>아세틸콜린분비소포를 연접틈새로 이동·분비시킴=>아세틸콜린은 (근육세포막에 있는)나트륨통로문을 열어주는 수용체에 부착함=>나트륨이 들어옴=>전류발생

 

발생한 활동전위는 어디로 가는가?

활동전위가 가로세관을 따라가 근육세포질그물로 간다. (종착지)

가로세관을 따라왔던 전류는 근육세포질그물에 있는 칼슘을 방출시킨다.

전기가 오지 않으면 활동 X, 전류가 흐르면 방출됨.

근육세포질그물에서 방출된 칼슘은 트로포닌과 결합과 동시에 트로포미오신(액틴을 싸고 있는 것) 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해 액틴을 노출시킴. 노출된 액틴에 미오신머리가 결합함.=>수축

 

<느린연축섬유와 빠른연축섬유>

-근육섬유는 느린연축섬유와 빠른 연축섬유로 구분되기도 하며, 이러한 구분은 미오신 잔섬유의 막대부분의 차이 때문에 가능하다.

-빠른연축섬유는 제 IIa형 또는 제 IIb형 미오신을 함유한다.

-빠른연축섬유는 빨리 수축하고 쉽게 피로해지며, 당원을 많이 저장하고 있다.

-느린연축섬유는 천천히 수축하지만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크며, 사립체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근육의 겉모습이 더 어둡게 보이는 것은 혈관이 풍부하고 순간적으로 산소를 저장할 수 있는 미오글로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미오글로빈은 근육수축에 의해 혈액 흐름이 방해를 받더라도 계속해서 산소를 방출할 수 있다.

-자세를 잡아주는 근육들은 느린연축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위팔에 있는 근육은 빠른연축섬유를 많이 함유함.

-단거리 선수들은 약 80%이상의 제 II형 섬유(빠른연축섬유)를 지니고 있으나,

세계적인 마라톤 선수들은 약 95%정도의 제 I형 섬유(느린연축섬유)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7.4 뼈대근육의 해부학

[뼈대근육의 일반적인 개념]

-대부분의 뼈대근육은 서로 다른 뼈에 부착하기 때문에 최소한 한 개의 관절을 지나게 된다.

뼈대근육이 뼈와 연결되는 부분을 힘줄이라고 하며, 이불처럼 넓은 힘줄을 널힘줄이라 한다.

-뼈대근육의 양쪽부착점을 이는곳과 닿는곳이라고 한다. 이는곳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 근육의 한 쪽 끝부분이 며, 몸통쪽에 고정되어 있다. 닿는곳은 근육이 수축할 때 움직임이 일어나는 뼈의 부착점이며 몸에서 먼쪽.

-힘줄은 기준이 되는 뼈와 다른 쪽 뼈에 연결되어 있으며(굽혀지기 위해), 같은 뼈에 이는곳과 닿는곳이 붙어 있으면 수축을 하더라도 굽혀지지 않는다. 항상 힘줄은 다른 쪽의 뼈에 붙어있다.

-작용근대항근은 누가 기준이 되는가에 따라 상대적이며, 협동적 관계이다. ex)팔을 굽히고 필 때

 

 

[머리와 목부위의 근육]

-머리와 목부위의 근육들은 얼굴표정, 씹기, 혀의 움직임, 삼킴, 목소리내기, 눈의 움직임과 머리와 목의 움직 임에 관여한다.

 

<얼굴표정근>얼굴에서 나타나는 모습

-뒤통수이마근은 눈썹을 위로 들어 올리며 앞쪽의 이마근육과 뒤통수근육이 널힘줄에 의해 이어짐.

수축눈썹을 올릴수 있음.

-눈둘레근은 눈 주위를 감싸서 눈꺼풀을 단단하게 닫아준다.(=감는다), 눈을 감게 함.

-여러 개의 근육들은 입술을 움직이고 입을 둘러싼 피부를 움직인다.

-입둘레근은 입술을 감싸며, 입을 닫는다.

-볼근입을 오므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ex)키스, 휘파람, 트럼펫불기

-광대근(작은광대근, 큰광대근) 들은 위입술과 입의 양끝을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여 미소를 지을 수 있게 한 다. 엔돌핀 분비됨. / 큰광대근은 광대활(zygomatic arch)에 연결된다.

-위입술올림근은 위입술의 한 쪽을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여 비웃을 때 표정을 짓게 한다.

-입꼬리내림근은 입의 양끝을 아래로 내리는 작용을 하여 찌푸린 표정이나 기분이 나쁜 표정을 짓게 한다.

**근육은 신경의 지배를 받아야하는데 얼굴표정근에 신경전달 X안면신경마비

 

<씹기작용>

-관자근(관자에 위치)깨물근(턱에 위치)은 씹기작용을 하는 동안 머리의 옆쪽에서 쉽게 보이고 만질 수 있 는 근육이다.

-두개의 날개근들은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다.

 

<혀의 움직임과 삼킴작용에 관여하는 근육>

-혀는 씹기작용과 말을 할 때 매우 중요하다. 혀는 볼근과 함께 작용하여 입안에서 음식이 잘 섞이게 한다.

 

<목근육>

-가쪽과 뒤쪽에 있는 목근육의 작용에 의해 머리의 회전과 가쪽굽힘이 생긴다. 가쪽 목근육에서 주동근 역할 을 하는 목빗근은 목선이라고도 한다.

-한쪽 목빗근만 수축하면 머리가 회전하고, 양쪽 목빗근이 수축하면 목을 굽힌다.

기운목(=사경)은 한쪽 목빗근이 손상되어 머리가 약간 비스듬하게 되는 질환이다.

 

[몸통근육]

<척주를 움직이는 근육>

-직립보행을 하는 사람에서, 등 근육은 매우 수축력이 강해서 직립자세를 유지시킨다.

-척추세움근은 직립자세를 유지하게 해준다.

 

 

<눈근육>

-6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거나, 신경지배X사시

 

 

<가슴근육>

-가슴근육은 호흡과정에 관여한다.

-바깥갈비사이근은 숨을 들이마실 때 수축하여 갈비뼈를 들어올린다.안의 공간이 커짐.

-속갈비사이근은 숨을 내쉴 때 수축하여 갈비뼈를 압박하면서 공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간다.

-바깥갈비사이근과 속갈비사이근은 서로 반대작용을 함.

-운동을 하지 않는 평안한 상태에서의 호흡은 가로막(=횡경막)에 의해 일어난다.

 

<배근육>

-배의 앞쪽에 있는 근육은 척주를 굽히고 회전시키며 배안 공간을 압박한다. ex)배변시

-외부 자극으로부터 배안 장기를 보호하고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돕는다

-배곧은근(앞쪽에서는 배곧은근만 보임),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골반근육과 샅근육>

-골반근육과 샅근육은 배변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회음의 근육 또는 샅 근육은 분만시 회음절개를 하는 부위.

 

[팔근육]

<어깨부위의 움직임>

-어깨뼈와 가슴우리에 부착하여 어깨뼈를 움직이는 근육은 등세모근, 어깨올림근, 마름근, 앞톱니근, 작은가슴으로 구성된다.

-등세모근은 양쪽을 합쳐 보면 마름모형으로 보이며, 잘 보이는 근육이고 어깨뼈가 부착됨. 어깨 뭉쳤을 때 마사지 하는 부위이다.

-어깨올림근은 안쪽에 있어 잘 안보인다.

 

<위팔부위의 움직임> 위팔을 움직일수 있게 해줌.

-위팔뼈는 큰가슴근(대흉근)넓은등근(광배근)에 의해 가슴우리와 연결된다.

넓은등근은 수영선수의 근육이라고 불리기도하며, 많이 발달된 근육이다.

-어깨세모근은 어깨뼈와 빗장뼈에서 위팔뼈까지 부착된 근육이며, 어깨뼈 봉우리(견봉)에서 삼각형이 그려진 다. 팔의 벌림기능을 수행하고, 근육주사를 놓는 부위로 자주 사용된다.

=>약물이 아플 때 피하에 들어가지 못하게 근육에 주사를 놓음. 근육은 피하보다 혈관이 많아 흡수율이 높다.

<아래팔부위의 움직임>

-위팔세갈래근(뒤쪽)은 팔꿉관절의 폄 기능의 주동근이고, 위팔두갈래근(앞쪽)은 팔꿉관절의 굽힘 기능의 주동 근이다.

-이는곳의 힘줄이 두갈래면 두갈래근(이두박근), 세갈래면 세갈래근(삼두박근), 즉 갈라지는 갈래의 개수에 따 라 이름이 지어진다. 두갈래→굽힘, 세갈래→폄 서로 협동근.

 

<손목과 손가락의 움직임>

-손목과 손가락은 아래팔의 근육이 뻗어있지 않고, 힘줄로 연결된다.

-앞쪽(손바닥)의 수축손이 접힘(당겨짐) (굽힘근)

-뒤쪽(손등)의 수축손이 펴짐 (폄근)

 

[다리근육]

-다리근육은 볼기근육, 넙다리근육, 종아리근육, 발근육으로 구성된다.

 

<넓적다리부위의 움직임>

-몇 개의 볼기근육은 볼기뼈에서 일어나서 넙다리뼈에 닿는다.

-큰볼기근(엉덩이 살 많은 부위)은 엉덩관절을 펴고 넓적다리부위를 벌리거나 가쪽회전 시킨다.

-중간볼기근(엉덩이 가쪽위 부위)은 넓적다리부위를 벌리거나 안쪽회전 시킨다.

중간볼기근은 엉덩부위에 근육주사를 놓을 때 주로 사용하는 부위. 주사부위로 가장 많이 쓰이는 부위이다.

=> 큰볼기근에는 큰신경이 지나가서 주사를 놓을 때 신경이 손상 되어 다리저림이나 마비증세가 생길수 있 음.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 중간볼기근에 주로 주사를 놓음.

-위앞엉덩뼈가시(상전장골극), 엉덩뼈능선은 근육주사 표지점이다.

=>이것들의 부위를 잡으면 중간볼기근의 위치를 알 수 있음.

 

<종아리부위의 움직임>

-넓적다리 앞부위의 근육은 넙다리네갈래근(폄근)과 넙다리빗근이 있다.

-넙다리네갈래근은 무릎을 펴는 주동근이다.

-넙다리네갈래근 중 하나인 가쪽넓은근(외측광근)은 근육주사를 하는 부위로 사용된다.

                                           ↳★영아나 어린아이★=>엉덩이 근육발달이 안돼서 허벅지(외측광근)에 주사를 놓음.

                                                  성인은 주로 엉덩이에 근육주사를 놓음.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곧은근: 손을 무릎에 얹으면 만져지는 가장 큰 근육.

                      -중간넓은근: 넙다리곧은근 안쪽에 있어 보이지 않음.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외측광근): 영아·어린아이의 근육주사부위

-넙다리빗근은 엉덩관절과 무릎을 굽히고 다리를 꼬고 앉을 때 주로 사용한다.. 근육이 사선으로 되어있다.

-넙다리뒤근육 중 넙다리두갈래근무릎을 굽힐 때 사용한다.

-대체로 굽힘은 앞으로 굽히는데 무릎은 뒤로 굽혀진다.

=>두갈래근이 뒤쪽에 있어서

-무릎을 굽히기 위해서 위쪽의 근육이 아래쪽의 힘줄과 연결되어있는데, 힘줄은 무릎뼈(슬개골)와 연결되어있 다. 무릎뼈는 뼈와 관절을 하지 않고, 아래쪽의 인대와 연결되어있음. , 넙다리네갈래근은 무릎뼈의 힘줄로 연결되어있고 무릎뼈는 인대로 아래다리뼈의 정강이뼈와 연결되어있다.

 

<발목과 발가락의 움직임>

-장딴지근가자미근으로 이루어지며, 이 근육들은 하나로 합쳐져 발꿈치 힘줄(=아킬레스건)을 형성하고

발가락굽힘과 발바닥굽힘을 담당한다.

-가자미근은 종아리근을 들어내면 보인다.

 

 

 

반응형

'1학년 > 해부생리학 (인체의 구조와 기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각계통 정리  (2) 2022.01.06
신경계통 정리  (0) 2022.01.06
뼈대계통 정리  (0) 2022.01.02
외피계통 정리  (0) 2022.01.02
조직계통 정리  (0) 2022.01.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