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student :: '2학년/약리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약리학 각론 - 5장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2학년/약리학|2022. 5. 10. 20:42
반응형

A 신경을 통한 정보전달

중추신경계(CNS)

말초신경계(PNS)

- 자율신경계 (불수의적;자의로 조절 불가능)

- 교감신경계 : 위기상황

- 부교감신경계 : 편안한 상태, 맛있는거 먹을 때!

 

신경세포

- 신경기본단위 : 뉴런

- 신경말단 연결부위 : 시냅스

*시냅스 :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전달하거나, 일부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기도, 나온 신경전달물질이 다시 재흡수도 함

 

신경전달물질

- 콜린성 신경 : acetylcholine을 방출

- 아드레날린성 신경 : norepinephrine을 방출

*acetylcholine효소에 의해 acetatecholine으로 분해

 

 

 

 

B 자율신경계와 약리작용

 

자율신경계의 기능 (★★중요★★)


교감신경 흥분 시
(위기상황)
부교감신경 흥분 시
(편안한 상황)
심장박동 증가 감소
기관지 확장 수축
소화관 운동 억제 항진
말초혈관 수축 확장
동공 산대 축소
()분비 억제 항진

*자율신경계 분포

: 내장평활근(소화관, 기관지, 혈관, 자궁), 심근, 분비선, 표적기관(: , , 심장 등)

(p.143 그림 5-4)

 

자율신경계의 기능에 관계되는 주요약물 작용기전

효능제

: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효과 일으킴

길항제

: 전달물질이 그 수용체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

분해효소 저해

: 방출된 전달물질로 하여금 그 활성을 잃게 하는 효소작용을 억제

신경의 재흡수 억제

: 방출된 전달물질이 되돌아가게 하는 기전을 억제

억제

: 신경절전 세포에서 신경전달물질 방출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수용체에 결합함

유리 억제

저장억제

: 소포 내로 신경전달물질의 저장을 억제

C 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 교감신경계 흥분과 같음

 

아드레날린성 효능제의 약리작용

수용체에 직접 결합

norepinephrine 분비를 자극 (ex) amphetamine)

➂ ➀,의 역할을 모두하는(ephedrine)

 

아드레날린성 효능제의 임상적용

혈관 수축

- 비점막의 출혈 시 사용

심장의 박동 수축

- 심정지 시 epinephrine 직접 투여

- 고혈압 치료 시 α₁ 길항제 사용

- 심혈성 쇼크 상태에선 혈관이 굉장히 수축되어 있어

dopamine을 수액에 섞어 정맥주입

혈관을 확장시켜 신장에 혈액 공급 (소변량 증가???)

기관지평활근 이완

- β₂ 효능제 사용

 

아드레날린성 길항제(반대작용)

 

α 차단제의 임상적용

고혈압

: α₁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관을 확장 (주로 Minipress)

 

β 차단제의 임상적용

교감신경 작용을 차단

서맥(느린맥)

산소 요구량 감소

혈압 저하

부정맥, 협심증. 고혈압 치료에 사용

 

• β₁, β₂ 수용체 모두 차단 : propranolol

• β₁ 수용체 차단 : metoprolol

• α, β 수용체 모두 차단 : labetelol

 

 

기관치천식 환자에게 사용 금지

• β 차단제의 사용 중에는 심전도와 혈압을 정기적 측정!!

 

 

 

 

 

 

D 부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

 

콜린성 효능제

부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은 두가지로 분류

- 수요체에 작용하는 콜린성 효능제

- 분해효소를 억제해서 acetylcholine을 축적하고 작용을

항진시키는 anticholinesterase

*

: 효소

 

acetylcholine의 약리작용

장운동 항진

교감신경 작동의 반대작용

- acetylcholine 자체가 치료제로 사용되는일은 드물다

(그럼? 어떻게 사용?

cholineaterase 억제하는 약물 = anticholinesterase를 사용해서 분해가 안되도록해서 acetylcholine 농도를 높임

사용시 효과 장운동 항진, 소화선의 분비 증가, 서맥, 동공축소와 같은 교감신경 작용과 반대로 작용 )

 

콜린성 효능제의 임상적용

수술 후, 분만 후 장운동 잘 안될 시

: 장운동을 정상화 시킴 (bethanechol, neostigmine )

소변을 못 볼 때

: 배뇨를 항진 시킴

중증근무력증

: edrophonium cholinesterase 억제제

녹내장

: 안압을 낮추기 위해 항콜린에스테라아제(pilocarpine) 약물로 방수를 유출 시킴

 

항콜린성 효능제(부교감 억제)

항콜린성 제제의 약리작용

tubocurarine

: 근육에 있는 니코틴 수용체를 차단시켜 근육을 이완시킴

 

항콜린성 제제의 응용 (주로 위궤양 치료에 사용!!)

소화관, 요관, 담관의 경련

: 진경작용에 따라 평활근을 이완시켜 담석이나 요로결석에 의한 통증을 없앤다.

마취전 투여

: 마취 시 기도분비(기도 막을수 있음)를 억제(scopolamine)

*scopolamine는 패치형태로 귀미테와 같이 나옴 4시간 이후 효과 나옴 미리 붙이기!!

산동

: 눈동자를 확장시키기 위해 (aropine)

*aropine 사용시 반감기가 길어 운전 금지!!!!!!

기관지천식, 폐기종 등 기도의 폐색증

: 항콜린성 제제로 기도를 확장시켜 호흡곤란을 개선

소화성궤양

: 위산분비를 억제

중독의 처치

: 농약에 중독되었을 때 (아트로핀!!! 중요한 치료제)

기타

: 파킨슨병의 치료 (trihexyphenidyl)

 

E 근이완제, 국소마취제

근이완제 (보통 진통제와 같이 사용)

골격근은 acetyl-cholined이 분비되어 수축 일어남 이런 수축을 억제하는 약

- 신경-근접합부에 작용해서 기능마비하는 약물

- 근세포의 수축기전의 장애를 일으키는 약물

-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골격근의 이완을 일으키는 약물

척수성근경직 (bachrofen)

 

근이완제는 전신마취 할 때도 사용

tubocurarine

골격근의 수용체를 차단해 근이완을 가져옴

(마취시 근이완, 기관 삽관시, 골절이나 탈구의 복구시 사용)

(남용시 호흡근 마비!!!)

succinylcholine

: 전신마취, 요로결석 통증시에도 사용

baclofen

: 척수성 근강()직에 효과 있음

 

국소마취제

: Na통로를 막아 신경마비를 일으킴 간단한 수술 주로사용

마취 방법

표면마취

침윤마취

신경마취

척수마취

: 복부나 하지의 수술에 사용

경막외마취

: 통증관리 시, PCA 달 때

(경막외강에 국소마취제(lidocaine)를 주입)

*lidocaine : 항부정맥제로도 사용, 국소마취제 가장많이사용

 

경막외마취제로 사용되는 morphine(마약성 진통제)

: 12~14시간동안 지속, 수술 후 조기 진통법(PCA 주로)

반응형

댓글()

약리학 각론 - 4장 항알레르기제, 항염증제

2학년/약리학|2022. 5. 10. 20:35
반응형

알레르기

: 호흡, 식물, 약물, 피부접촉 등 체내로 반복적으로 항원이 침입하면 항원 항체 반응이 일어나고, 각종 화학물질(히스타민 등)이 분리되어 조직을 손상시키고 알레르기 증상이 일어남.

(p.122 그림 4-1)

 

A 항히스타민제와 항알레르기제

히스타민

- 비만세포 안에 저장

항원이 들어오면 IgE가 반응해 항원항체반응을 가져옴

- 반응

혈관확장 기관지 수축

위산분비 신경전달물질 작용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경감을 위해 히스타민의 길항제인 항히스타민제를 투여

 

항히스타민제의 작용

히스타민 수용체

: 항히스타민제의 작용을 위해 히스타민 수용체와 결합

(H수용체, H수용체) - 두가지 있음

H길항제

일반적인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제 및 α 수용체 길항제와 구조 비슷

작용

항히스타민제 작용 진정 작용

수면작용 국소마취작용

항구토작용

사용

알레르기성 질환 멀미 예방

감기약 기관지천식 예방

쇼크방지

H길항제

위액분비 억제 작용 (위궤양 치료제)

 

H길항제

 

1세대 : chlorpheniramine

BBB(blood brain barrier)통과 중추신경계 부작용 수면작용

 

2세대 : zyrtec

1세대 수면작용 약화 시킴

 

Benadry : 가려움증에 사용

promethazine : 마취 전 투약

Dramamine : 멀미 방지

 

H길항제 (위궤양 치료제)

cimetidine : 십이지장궤양에 대해 매우 효과적

 

 

B 염증과 항염증제

(p.127 그림 4-2)

 

혈관과 혈액

: 프로스타글란딘은 혈관확장,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있음

(심근경색 후에 재발 방지로 아스피린 소량 사용!!)

통증

: 프로스타글란딘은 강력한 통증을 유발

기관지

: 류코트리엔 분비로 기관지 수축으로 기관치천식 발작

(천식환자 아스피린 사용XXX)

발열

 

 

 

 

PG(프로스타글란딘)의 생리적 중요성

자궁

: 강력한 자궁수축에 관여(진통유발)

: 점막의 보호

신장

: 신장의 조직을 보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산성 항염증제

aspirin

- 항염증작용

- 진통작용

- 해열작용

-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indomethacin

 

해열 진통제

(해열 진통만 가져오기엔 NSAID를 사용할 필요 X)

 

acetaminohem(Tyrenol, 타이레놀)

: 해열 진통효과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부신겉질호르몬

당질 코르티코이드 항염증 작용, 면역억제작용

- 천연 : cortisone, hydrocortisone

- 인공 : dexamethasone, betamethasone

(인공 많이 사용, Why? 약효가 30배 차이)

 

염증성 질환, 면역관련성 질환에 반드시 사용!!

: 류마티즘질환, 알레르기 질환, 장기이식 후 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부작용 주의!!!

: 부신겉질의 활동을 안하게 되어 위축상태가 되어 나중에 요법 중지 시 호르몬 생성기능 정상화에 시간이 걸림

moon face 부종 등 다양한 부작용 (p. 135)

(예방 How? 양을 늘리거나 줄일 때 점차적으로)

 

부신겉질 스테로이드 제제

dexamethasone

betamethasone

 

C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여성이 특히 잘 걸리는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

 

치료의 기본 방침

통증을 먼저 완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염증억제 부신 겉질 스테로이드제

향류마티즘제 사용 (MTX, TNF-α)

 

항류마티즘제

penicillamine

: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1~2개월 걸림

methotrexate (MTX)

: 화학적인 면역억제작용

 

분자표적제

: TNF-α (생물학적인 약물)

 

D 통풍, 고요산혈증 치료제

: 남자에게 잘 발생, 가족적인 성향이 많음

(p. 135 그림 4-4 책 필기 보기)

(p. 135 그림 4-4 책 필기 보기)

 

 

 

 

E 편두통 치료제

원인 : 염증반응 화학물질 분비 혈관확장

치료 : 염증 NSAID, 혈관확장 triptsn계 약물

반응형

댓글()

약리학 각론 - 3장 면역치료제

2학년/약리학|2022. 5. 10. 19:15
반응형

면역기전

: 신체에 이물질이 체내에 들어오면 방어기전

- 자가면역질환 : 면역기전의 과잉

- 기화감염 : 면역기증의 저하로 감염증이 악화

자연면역계

: 체내에 침입한 세균에 대해 자연면역계 작동

(대식세포, 호중구와같은 포식세포, 보체, 옵소닌화, 비만세포, 호염기구, 사이토카인 등)

획득면역

능동면역 : 예방접종

수동면역 : 항독소

 

A 면역반응의 구조

T 세포 : 세포성 면역

(대식세포, 세포독성T 세포, 자연살해세포 활성화 시켜 세포가 직접공격 하게 함)

B 세포 : 체액성 면역

(항체생성으로 혈액에 떠다님 직접 공격 X)

 

특이적 면역억제제

cyclosporine

- 사이토카인의 합성 억제

이식 시 거부반응을 방지

복용 시 혈중농도를 꼭 체크해야함!!! Why?, 고칼륨혈증

 

비특이적 면역억제제

azathioprine

DNA 합성을 억제

심장이식 후 거부반응 억제

 

약물교육

면역억제제는 백혈구 감소, ,신장장애 등 부작용 초래 할 수 있어 일어나면 곧바로 주치의에게 연락한다.

개인적으로 감량 및 중지 X

감염을 일으키기 쉬워 유의해아함

 

C 면역강화제

능동면역

처음 접종시 면역 바로 생기지 X

한 번 더 접종을 받아야함

두 번째 접종시 면역이 더 빨리 생김

 

수동면역

투여와 동시에 면역 생김

투여 후 점차 감소(초기가 가장 높음)

항체가 바로 필요한 경우 투여

 

D 예방접종약

 

생백신 (live vaccine)

: 살아있는 병원체에 독성만 약하게 만든 것 (임산부투여 X)

ex) 폴리오, 홍역, 풍진, 유행서이하선염 백신 등

사백신 (killed vaccine)

: 열처리나 fomalin으로 죽인 미생물 (누구에게나 접종O)

ex)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이본뇌염, 인플루엔자, A형간염, B형 간염

톡소이드 (toxoid)

: 독소의 항원성을 유지한채로 무독화 한 것

ex)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및 파상풍 톡소이드

반응형

댓글()

약리학 각론 - 2장 항암제

2학년/약리학|2022. 5. 10. 19:11
반응형

 

A 암 치료에 관한 기초사항

 

항암제의 분류

분류 항암제
알킬화제 cyclophosphamide
대사억제제 methotrexate
5-fluorouracil
항생제 bleomycin
성호르몬 및 성호르몬 길항제

 

 

항암작용의 구조

항암제 : 암세포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기전

세포주기 특이성 약물

: 종양세포의 활발한 분열 반복을 특정 분열주기에 작용

ex) 대사억제제 DNA 복제기(S)에 최대효과!!

세포주기 비특이성 약물

: 왕성한 분열하는 세포에도 효과적, 느린 속도로 분열하는

종양세포에도 효과가 있음

ex) 알킬화제

 

*G: 세포성분의 합성인 이 시기에 항생제 사용!!!

*G: DNA 합성에 필요한 효소 합성인 이 시기엔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사용!!!

*M: 유사분열인 이 시기는 vin(빈크리티? 나중에 나온데)

 

항암제 부작용

: 부작용 없는 항암제는 없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소량씩 병합해서 사용한다.

 

암세포 근절을 위해 화학요법 반복

 

 

 

 

 

약물내성

 

획득내성

: 처음에 효과가 있었으나 투여가 지속되면서 내성이 생김

P-당단백질

: 항암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내성을 가져옴

 

치유적 화학요법

: 수술 후 약물을 통해 단계적으로 치유

치료적 화학요법

: 수술 X 약물을 통해 단계적 치유

완화적 화학요법

: 수술 X 약물을 통해 증상 치유목적 X, 완화 목적 O

, 일시적인 증상 완화

 

B 항암제 각론

 

알킬화제

: DNA 자체에 결합하여 알킬화를 통해 복제를 억제함

 

cyclophosphamide

- 생체 내에서 대사되어 활성화

부작용 : 골수억제

 

대사억제제

: DNA 또는 RNA의 합성을 억제하여 항암작용 함.

핵산합성에 작용하는 효소반응을 억제로 정상적인 DNA, RNA 합성을 억제

methotrexate

세포주기 S기에 작용

부작용 : 골수억제

5-FU

 

항생제

: DNA 이중고리에 깊게 삽입되어 DNA, RNA 합성을 억제

 

bleomycin : G기에 특이적으로 반응

 

 

식물 알칼로이드

vincristin : 세포 분열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추체의 합성을 억제

 

성호르몬 및 성호르몬 길항제

Nolvadex : 유방암에 사용

 

기타

cisplatin : DNA에 작용하여 복제를 억제

 

암성 통증의 치료

: 암 환자는 통증치료가 매우 중요!!! (5원칙)

 

간결한 경로로 투여한다

 

통증의 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고른다

 

투여량은 환자별로 다르게

 

시간을 정해 규칙적으로 투여

 

세심한 배려를 한다.

반응형

댓글()

약리학 각론 - 1장 항감염증약

2학년/약리학|2022. 4. 24. 19:00
반응형

A. 감염증 치료에 관한 기초<p.72~76>

 

향균작용의 원리

선택적 독성 : 향균제는 병원 미생물과 인체 세포의차이를 목표로 작용을 나타냄

(각각 연관된 향균제 기억)

세포벽 합성 억제

penicillins

cephalosporins

엽산대사 길항

설파제

핵산합성 억제

Quinolones

Rifampin

단백질 합성 억제

aminoglycosides

Tetracyclines

세포막 투과성 변동

항진균제

 

항균제 범위

향균범위 : 어느 정도 종류의 세균에 유효한지 범위

협역성 약물 : 극히 제한된 미생물에만 작용

ex) isoniazid는 항상균 (대표적;결핵균)에만 유효

광역성 약물 : 매우 많은 종류의 세균에 유효

ex) tetracycline

기회감염 : 광역성 항균제 투여는 정상세균총(우리 몸속에서 정상적으로 살아가던 세균)에 영향을 미쳐, 칸디다처럼 일상적으론 억제되있던 특정 미생물 증식으로 감염증 일어남

최소억제농도(MIC) : 향균제가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최소농도

 

약제저항성

: 처음에는 향균력 나타남 But, 시간이 경과되고 많이 사용함에 따라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생김

 

발생 기전

약제 분해하는 효소 생성

약제 구조를 변화

약제의 투과성을 저하

항생물질의 오용이나 남용은 피해야 한다!!!

 

사용할 항균제의 선택

- 급성 중증환자의 경우 세균의 배양검사 기다리지 않고

광역성 약을 투여하고 검사결과가 나오면 재검토를 한다.

 

시간 의존성 약, 농도 의존성 약

시간 의존성 : 혈중농도가 일정이상 장시간 지속될수록 임상적 효과가 높아지는 것 (나누어 투여)

ex) β-lactams

농도 의존성 : 혈중농도가 최고일 때 향균효과 높음

(고용량으로 한 번에 투여)

ex) aminoglycosides, quinolones

정균제, 살균제

정균제 : 세균의 증식을 정체시킴

ex) chloramphenicol 투여

살균제 : 균을 박멸시킴

ex) penicillin 투여

약물의 주요 배출경로

담도계 감염증 : 담즙으로 배출되는 약물

요로 감염증 : 소변으로 배설되는 약물

 

 

B. 항균제 각론<p.77~86>

 

페니실린계 항생제(penicillins)

-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시킴

- β-lactam(베타락탐계) 특징

- 세균 세포벽에 존재하는 페니실린 결합단백질을 불활성화

<p.77 그림1-5>

<p.78 그림 1-6>

 

협역 페니실린류(narrow(좁은) spectrum penicillins)

페니실린 G

<장점>

- 향균역은 좁지만 그람양성/음성균, 매독에 효과적,

- 강력한 향균력

- 안정성이 높음

<단점>

- 경구투여시 위산에 의해 활성을 잃음

- 신장으로 빠른 배출 때문에 효과 오래가지 않음

 

페니실린 분해효소 저항성 페니실린류

- 페니실린 G가 널리 사용되면서 페니실린 저항성 균이 치료에 있어 문제가 되어 왔음.

- 페니실린 화학구조에서 CO-N 사이를 끊으면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의 효력이 상실됨

- ex) β-lactamase라는 효소에 의해 끊어짐

- penicillinase를 생성하는 저항성 균에는 methicillin을 사용 But, 이 또한 메티실린 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처럼(다제 저항성균) 발생으로 감염증 치료 힘들어짐 원내감염의 원인

 

광역 페니실린

ampicillin : 소화기감염이나 요로감염에 사용

 

cephalosporins 계 혹은 유사항생제

페니실린과 아주 유사한 화학구조, β-lactam 고리모양으로 효소(ase붙은 효소명칭)으로 인해 CO-N 사이 끊어져 효력을 잃음

 

1세대

: 많이 사용하지 않음, 예방효과?

 

2세대

: 그람음성균에게 효과 있음

 

3세대 중요

- 그람음성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가짐

- 기회감염을 방지를 위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함.

- cefrazidime는 수막염의 1차 선택약이다.

- ex) cefotaxime, cefriaxone

 

4세대

: ex) maxypime, cefepime pime로 끝남

 

cephalosporins계 공통 유해작용

: 알레르기, 소화기(오심, 구토) 증상, 혈액응고 기능 장애, 간기능 장애나 신독성이 있음

 

aminoglycoside계 항생물질

- 분자 속에 아미노당이 들어있음

- 그람음성간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 보임

- 약물로서는 항결핵균, 항녹농균 작용을 함

streptomycin : 항결핵제와 병용되어 결핵 치료에 사용

gentamycin : 녹농균에 효과 있음

arbekacin : MRSA에 대해 항균력이 높음

 

tetracycline 계 항생물질

- 항균력이 넓고 다른 항생물질이 잘 안 들으면 사용

minocycline : MRSA 감염증 치료에 사용

 

tetracycline 계 공통적인 주의사항

- 간이나 신장기능 장애 일으키기 쉬움

- Ca, Mg, Al, Fe을 함유한 제산제 및 철제와는 병용 X

  Why? : 금속과 결합해 흡수하기 어려운 상태로 됨

- 대량으로 투여시 태아나 유아의 치아와 뼈에 축적되어 변색되거나 발육에 지장

- 정맥 내 투여시 정맥염 일으킬 수 있음

- 고령자 경구투여시 식도에 그대로 남아 궤양 조심

- 임산부나 수유 중에 사용 X

 

macrolide 계 항생물질

- 그람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향균작용

- tetractcline, chloramphenicol에 비해 유해작용 적음

 

erythromycin

: 간에서 약물대사 효소를 방해로 digoxin, warfarin, theophyline(기관지 확장)의 작용 높이므로 주의 필요

clarithromycin

: Helicobactor pylori 감염증의 항균제로 사용

 

기타항생물질

vancomycin

: MRSA 감염증의 치료제지만 이 또한 저항성의 장구균인 VRE의 존재 발견으로 저항성 균 늘지 않게 신중하게 사용

 

MRSA 감염증에 사용 약물
aminoglycoside arbekacin
tetracycline minocycline
기타 vancomycin

 

합성 화학요법약

quinolone계 항생제

- 화학합성으로 만들어진 항균제

- 세균의 DNA 복제를 하는 효소를 방해

- 향균력이 넓고 부작용이 적다. 사용량 증가

- ex) norfloxacin, ofloxacin, enoxacin, cyfloxacin

이름 끝에 Cin이 붙는게 특징!!!!

 

설파제(sulfonamides) 이름앞에 sulfa 붙음

sulfamethoxazole

- 유효혈중농도가 오랫동안 유지됨.

- 화농성 질환이나 소화기 감염증에 치료에 쓰임

 

sulfamethoxazoletrimethoprime의 복합제

- 엽산 합성효소를 억제시키는 항균력 가지고 있음

 

sulfadiazine : 화상 및 욕창 치료에 사용

sulfasalazine : 궤양성 대장염 치룡 사용

 

 

 

 

C. 특수한 감염증의 치료제<p.87~93>

 

항결핵제

 

항진균제

심부 진균증 : 소하기에 기생하여 증식

- 원인 : 칸디다

표재성 진균증 : 피부, 모발, 손톱에 걸림

- 원인 : 피부사상균(무좀)

 

amphotericin

- 모든 진균증에 효과

- 칸디다의 이상증식에 효과

miconazole

griseofulvin

- 무좀 치료 약물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의 작용점 ★★★기억★★★

바이러스 세포에의 흡착, 침입, 탈외피의 억제

바이러스 DNA/RNA 합성 억제

바이러스 단백질 합성 억제

바이러스 특유의 효소 억제

바이러스 입자 프로세싱 과정 억제

 

반응형

댓글()

약리학 총론 - 약은 어떤 방식으로 체내를 순환하는가? ~ 약물의 유해작용은 왜 일어나는가

2학년/약리학|2022. 4. 23. 22:16
반응형

C. 약은 어떤 방식으로 체내를 순환하는가?

흡수

: 정맥 내 주사는 100% 체내 흡수 But, 경구 투여는 소화관 점막을 통과하여 혈액 속으로 흡수

 

소화관 점막에서의 흡수

약물은 대부분 지용성

약물은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쪽으로 확산되어 흡수

약물은 pH에 영향을 받음

ex) 약산성 약물은 pH가 산성에 가까우면 흡수 쉬움

약염기 약물은 pH가 알칼리성에 가까울수록 흡수 쉬움

큰 약물을 흡수하는데 소화관에 있는 운반체가 도움을 줌

 

간에서의 대사

간에서 대사 = 일차통과대사

일차통과대사를 거친 후, 투여량에 비교하여 대사를 받지 않은 형태로 순환혈액 중에 도달하는 비율을 생체이용률이라 한다. ex) propranolol

 

분포

혈장 단백질(알부민)과 결합 결합형 약물,

비결합 시 비결합 약물

모세혈관을 통해서 표적세포에 도달

결합형 약물

: 약리활성이 없다(약 효과X), 약물대사 받기 어렵, 비결합 약물의 공급원, 모세혈관 통과X

결합형 약물비결합 약물은 혈중에서 평형관계 유지

간질환에 의해 혈장 단백질 저하,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기 쉬운 다른 약물이 공존 등의 원인 결합형의 비율 ↓ → 비결합형의 약물 ↑ → 약효가 강하게 일어남

뇌에는 혈액 뇌관문(bbb, blood-brain barrier)이 약물의 이동을 제한함

But, 지용성이 높은 약물은 뇌 내부로 들어가 작용 가능

 

약물의 대사

약물대사에는 제1상 반응과 제2상 반응이 있다

1상 반응 :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을 거침(간 대사 후)

2상 반응 : 1에서 형성된 포합물을 소변으로 배설되기 쉬운 형태로 대사

원래의 화합물 보다 대사된 약물작용이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남 전구 약물

 

약물대사의 대표효소 cytochrome P450

 

대사 효소의 증감은 약효에 영향을 미친다

효소유도 효과 저하

효소억제 효과 강하게 나타남

배설

신장으로부터의 소변을 통한 배설

배설 방식에는 사구체 여과와 세뇨관 분비가 있음

신장기능 지표가 되는 크레아티닌 청소율

 

간 등으로부터의 배설

장간순환이 이루어짐

 

생물학적 반감기

임의의 시점의 약물농도가 반이 되는 시점

약물의 혈중농도와 약물 혈중농도 모니터링

TDM(치료약물농도감시)

TDM이 필요하다 여거지는 약물 특징

유효혈중농도의 범위가 좁고 치료수준과 독성수준이 가까운 약물

개인차가 큰 약물

약효와 부작용이 나타나는 약물

간장애. 신장장애, 고령으로 개인화하여 조정하여 투약해야 하는 약물

 

 

 

 

D. 약효에 영향을 주는 인자

연령, 유전형질, 알레르기 반응, 반복 투여, 약물 상호작용

 

약효에 관계되는 약리유전적 형질

유전형질에 따라 약물 대사 형태나 속도가 다르게 나타남

효소활성이 낮은 사람은 약물의 대사가 지연되어 이러한 약물작용이 강하게 나타남

 

약물 알레르기의 원인과 대책

환자에게 문진을 통해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

 

반복투여가 약효에 미치는 영향

약제내성

내성 일으키기 쉬운 약물 : 항암제, 수면제, 마약성 진통제

내성 기전 : 약물대사효소의 유도, 약물 수용체 수의 감소 혹은 감수성 저하, 세포내에서의 약물 배출기전(P-당단백질)의 증가, 세포 내 대사경로의 변경

향균제가 듣지 않는 다제내성균

ex) MRSA 황색포도상구균

 

약물의존

마약성진통제

신체적의존

금단증상

 

약물상호작용

약물 두가지 이상 병용하는 목적

약효를 증강시키기 위해

주약에 의한 부작용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함

대증요법으로 여러 가지 증상의 완화를 위함

ex) 파키슨병의 치료제 levodopa

p.45

 

약물동태학적 상호작용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변질 : 흡수하기 어려운 성질로 바뀐다

ex) 향균제인 tetracyclines계 약물 철, 알루미늄, 칼슘이 들어 있는 약물과 함께 투여 시 흡수 방해한다.

흡착 : 흡착되어버린다

ex) 지질이상증 치료제 cholestyraminewafarin 등과 함께 투여 시 흡착시켜서 흡수를 막음

대사 : 흡수 전에 세포 안에서 대사된다. ex) P450 흡수전 대사시켜 흡수율 저하

P-당당백질 : 소장점막세포에 존재하는 P-당단백질에 의한 세포 밖으로의 약물 퍼내기 장관 내로 배설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일부 약물은 알부민과 결합 만약 약물 결합이 더 강해지면 결합형 약물의 일부는 떨어져나가 유리형(비결합형)으로 바뀜 약물의 작용이 증강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효소유도 : P450 활성도 높임

효소억제 : P450 활성도 억제

식품의 영향 : 자몽주스는 칼슘 길항제의 대사를 억제시켜 그 작용을 증강시킴

 

배설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통풍 치료제인 probenecidpenicillin(페니실린)을 병용 시 probenecidpenicillin의 배설을 방해 penicillin의 혈중농도 상승

 

 

E. 약물의 유해작용은 왜 일어나는가?

과량의 치료약이 체내에 축적되는 경우

약물 사용의 유익성 및 유해성에 대한 고려

특정 장기조직에 발생하기 쉬운 유해작용

치료약에 의한 유하작용의 원인

 

 

과량이 일어나는 배경

축적이 일어나는 원인

반감기가 긴 digoxin처럼 반감기가 긴 약물은 축적을 일으키기 쉽다

치료범위와 중독범위의 폭이 좁으면 축적이 즉시 중독으로 이어짐

 

약물치료 시 특히 주의를 요하는 사람들

고위험군 : 신생아. 미숙아. 고령자, 주요장기(, 신장, 심장, ) 장애

 

태아, 임산부 : 임신일 경우 8주 이전은 장기 형성기간이어서 주의가 필요함

 

신장기능장애가 있는 환자

간에서 대사를 하지 않고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는 약물 요중 미변화체

요중 미변화체가 70% 이상일 시 신장기능에 장애가 있으면 반감기가 연장 약효가 지속 혈중농도 상승 치료범위를 넘음

요족증 생체이용률 증가 약물 효과 증가

 

*위의 사항들을 예방하기 위해 신장기능 체크 필요!! 체크를 위한 지표는 크레아티닌 청소율 사용

 

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

 

ex) 간경병증 환자는 대사가 잘 안되어서 중추신경게에 작용하는 약물의 감수성이 향진되므로 약물을 상용량으로 투여해도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증강된다.

 

심부전 환자

- 간이나 신장에서 약물처리 능력이 떨어진다.

강심제 digoxin과 이뇨제인 furosemide의 흡수가 저하됨

 

 

약물 사용의 유익성과 유해성

치료지수 : 50% 유효량(ED₅₀)50% 치샤량(LD₅₀)의 비율

치료지수가 클수록 안정성이 높은 약

치료제의 부작용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가?

수용체가 관계되어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효소가 관여햐여 부작용을 일으킴 p.57~p.60

 

반응형

댓글()

약리학 총론 - 약물치료가 지향하는것 ~ 약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2학년/약리학|2022. 4. 22. 02:41
반응형

CHAPTER 1 약리학 총론

A. 약물치료가 지향하는 것

 

(1) 약을 사용하여 병을 치료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2)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 요구하는 기본적 성질은 어떤 것인가?

(3) “병을 치료한다는 것은 약물의 효과(약효)에만 의존하는 것인가?

 

약에 의한 병의 치료

: 신체의 기능이 생리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서 정상보다 항진되거나 혹은 저하된 상태

: 병적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에 가까워질 수 있게 하는 화학물질

약물치료 : 생리적 기능 저하 시 촉진

생리적 기능 항진 시 억제

위 두 기능을 이용하여 몸의 기능이 정상범위에 위치하기 위함

 

생체기능은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조절됨

약물의 부작용이나 유해작용의 가능성!!

 

약으로서의 기본적 성질

세포의 특정 장소에 결합

수용체 : 체내의 생리적 활성물질(ex,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사이토카인 등)이 특이한 결합을 하여 최종적으로 세포기능(ex, 수축, 분비, 대사 등)의 변화를 일으키는 단백질

 

효능제 (agonist)

수용체와 결합하여 본래의 활성물질과 동일하게 작용

길항제 (antagonist)

수용체와 결합하여 본래의 활성물질 결합을 방해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는 약은 없다.

약 작용의 강약이나 부작용의 발현은 약의 흡수, 대사 및 배설 능력의 차이랑 연관

약 부작용은 다양하고 부작용 기전이 명확하지 않는게 많음

부작용에 대한 발현의 예견, 조기 발견, 투약의 가감(증가나 감소)이나 처치 등을 적절하게 행해야 함

 

약의 사용 목적

원인요법 : 병의 원인을 제거 목적

ex) 병원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 항생물질 치료

보충요법 : 몸 안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부족한 물질(호르몬 등) 대체 물질을 외부로부터 보충

ex) 당뇨병 인슐린 주사

대증요법 : 병에 의한 증상 억제

ex) 감기약 감기의 각각의 증상에 대한 약

질병예방 : 감염이나 알러지 증상에 대한 예방

ex 예방백신, 예방목적 항알레르기제

 

약물요법에 있어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 (p.7)

약물오용의 방지

안전한 약물요법을 이행하기 위해 준수해야 할 5가지 확인사항 (5- Right)

Right Patient 환자를 잘못 알고 있지는 않은가?

Right Drug 투여할 약에 잘못은 없는가?

Right Dose 약물 투여 용량이 정확한가?

Right Time 투약 시기에 잘못은 없는가?

Right Route 투여 방법이 올바른가?

 

 

 

부작용이나 유해작용의 발견과 예방

특히 주의해야 할 대상

치료 범위가 좁은 약을 사용중인 환자

(치료 범위 좁으면 위험 약물 넓을수록 안전한 약물)

알레르기 소인이 있는 환자

약의 대사·배설 경로인 간이나 신장에 질환이 있는 환

많은 약제를 동시에 사용 중인 환자 등

 

낙상을 일으키기 쉬운 약물

수면제, 항히스타민제(알러지 약)

 

혼동되기 쉬운 약제명의 예

Amaryl : 당뇨병 --- Almarl : 고혈압

 

약의 명칭

일반명 : 세계 공통명칭-유효성분의 이름

상품명 : 시판명

 

복약에 관한 환자 지도

복약방법을 환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환자의 임의로 약의 중단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위험에 대한 지도

 

환자나 그 가족에 대한 치료내용의 설명

환자나 가족을 격려

치료에 대한 보충설명

환자의 상태를 의사에게 전달

 

좋은 치료는 환자나 가족의 이해와 협력하에 이루어짐

 

B. 약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약리학(pharmacology)

약력학 : 화학물질인 약물이 몸속의 수용체와 어떻게 결 합하여 어떠한 순서로 그 작용을 발휘하는가에

대한 연구

약물동태학 : 약의 흡수, 체내분포, 생체 내 변환, 배설 등에 관한 연구

 

임상약리학

사람의 약물치료에 관한 연구

약물의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내고, 의료사고를 예방하 고, 약이 체내에 어떻게 효과를 보이는지 연구

(1) 약물의 활동(약리작용)은 생리 기능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2) 약의 작용점인 수용체에서 약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

(3) 약의 투여방법에 따라 약의 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약리작용의 기본 형식

 

흥분작용 vs 억제작용

항진(흥분작용) 혹은 저하(억제작용)을 통해 정상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를 본래로 돌리는 역할

 

ex) Epinephrine (adrenalin)

심기능 흥분작용 : 심장박동수 증가, 심근 수축강화

혈액 박출량 증가 (강심작용)

기관지평활근 긴장 억제작용 : 기관지평활근의 긴장 저하, 수축된 기도 확장 호흡용이

 

직접작용 vs 간접작용

직접작용 : 약물이 직접 몸의 기관에 작용하여 기능을 변 화시키는 것

간접작용 : 결과적으로 다른기관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

 

ex) Digoxin

직접작용 심장에 대한 약리작용

: 심근 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 (강심작용)

간접작용 이뇨작용

: (직접작용)위의 결과, 혈액의 체내 순환 개선

: 신장의 사구체에서도 혈류량과 여과량이 늘어남

소변량의 증가

 

국소작용 vs 전신작용

국소작용 : 약물이 적용된 장소에 한정하여 약리작용

전신작용 : 약이 흡수되어 전신에 걸쳐 약물작용

 

ex) 향균성 항생물질인 aminoglycoside계 약물

복용 시 : 흡수되지 않아 소화기관에 머물며 향균작용

근육 주사 시 : 흡수되어 전신에 향균작용

 

투여경로에 따라 국소, 전신작용을 나타낸다.

 

 

치료작용 vs 부작용

치료작용 : 본래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약리작용

부작용 : 치료용량에서 나타나는 치료효과와 관계없는 작용, 혹은 치료에 부적합한 작용

 

약의 치료범위와 작용점

 

조직 상호간 정보의 중요한 전달 시스템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각각의 계통의 자극 (정보) 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물질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사이토카인

 

정보전달의 공통적인 형식

전달물질과 표적세포의 특정부분(수용체)이 선택적 결합하여 표적세포의 활동이 일어남

 

약은 적절한 치료범위가 있다.

약물 혈중농도가 치료범위에 머무를 경우 치료효과 얻음.

혈중농도가 치료범위 넘어가면 약물중독 됨.

치료범위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름

경구투여 혈중농도는 개인차가 크고, 같은 용량 복용에 도 혈중농도에 큰차가 있는 약물도 있음.

 

약은 수용체에 도달해야 비로소 작용을 발휘한다.

4가지 기억차이?기억?

수용체 : 주어진 정보의 선택 및 그것의 형태를 변화시켜 세포 내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단백질

 

. 신경계 전달물질 수용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 내분비계 호르몬 수용체

스테로이드 호르몬 인슐린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수용체 = G 단백연결 수용체

교감신경 말단으로부터 norepinephrine 방출 세포막 관통하고 있는 에피네프린 수용체와 결합 G 단백질 활성화 2 전령물질(세포 내 정보전달 물질을 생산하는 효소)

작용함 세포반응

 

G 단백질 매개로 제2 전령물질 생산

생리활성물질 : 에피네프린, 히스타민, 세로토닌, 안지오텐 신, 프로스타글란딘 등

 

아세틸콜린(니코틴성) 수용체 = 이온통로 수용체

운동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방출 골격근 세포막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 이온통로가 열림 양이온인 나트륨(Na+)이 유입 근수축(양이온이 들어와서)

 

아미노산의 GABA 수용체 (중추신견계의 세포막에 있음)

염산(Cl-) 이온 통로를 열어 Cl-가 세포내로 유입 진정작용(ex, 수면제, 항불안제 등)

 

`인슐린 수용체 = 효소 수용체

췌장의 란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 분비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 효소반응 세포반응(포도당이 조직으로 반입, 세포의 증식, 글리코겐 생산)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 = 효소 수용체

부신겉질의 당질 코르티코이드 세포막 통과 세포질 내에서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와 결합 복합체 형성 DNA 상의 특정 부위에 결합 (특수한 단백질 ex, 사이토카인, 효소 등을 생산 촉진이나 억제)

 

이온통로의 개폐에 의해 효과를 나타내는 약

 

세포 내외의 전위차 유지

- 세포막(인지질의 이중층구조)로 분리

- 전해질 이온 자유로운 이동 X

 

전위 의존성 이온 통로

- 아세틸콜린 수용체 = 독립된 이온통로

- 이온통로는 근세포(아세트틸콜린 수용체), 신경세포(GABA

수용체) 들의 활동과 깊은 관계

ex) 칼슘 길항제 (협심증, 부정맥, 고혈압 치료제)

심근, 형괄평활근 수축을 위해 칼슘이온통로가 열려 Ca²유입 필요, But 유입 차단시 심근활동 억제, 혈관의 긴장 저하로 혈압의 저하의 결과를 가져옴 칼슘 길항제

 

효소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약

: 특정한 효소(무언가를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생리적 환경 변화

ase, enzyme, 효소 효소에 작용하는 물질들

ex)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

신경에서 방출된 아세틸콜린 콜린+ 아세테이트로 분해

이 효소(콜린+ 아세테이트)의 억제제는 아세틸콜린 분해 방해 시냅스에서 아세틸콜린 농도 높임 중증근무력증과 같은 근육이 힘이 빠진 상태를 약물투여로 수축(긴장) 상태로 만듬

 

 

다른 구조로 효과를 나타내는 약

 

운반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세포막에 있는 운반체는 특정한 물질을 세포 내로 운반 ex) 우울증치료제

핵산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약의 투여 경로

 

경구투여의 특징

쉽고 안전하다.

주사에 비해 효과가 느리고 효율성이 낮음

반복 투여에 의한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 가능

위산이나 식사 내용물에 흡수 속도 영향 받음

간장()에서 대사되지 못한 일부만 전신 효과 발휘

계속 먹을 시 약물의 효과 감소 가능

 

주사에 의한 약물투여

정맥주사

- 가장 일반적인 주사방법

- 빠르게 전신으로 즉시 작용

- 회수가 어려워 오용에 의한 위험성 매우 높다

- 혈관에서 약물이 세어나갈 수 있고 그 주위 조직이 염증이나 괴사 가능성 있음

동맥주사

혈관조영

척수강내 주사

- 3·4 요추의 사이에 약물 주입

요추마취시 주로 사용

 

흡입에 의한 약물 투여

흡입마취 : 기체인 마취약을 호흡기계로 흡입해 폐포로 흡수되어 중추신경에 작용

현탁액, 드라이 파우더도 요즘 사용

환자가 스스로 하는 경우가 많아 흡입횟수(흡입량) 조절 관련 엄격한 지도 필요

 

외용에 의한 약물투여

피부도포

- 혈중 약물농도 유지하는 제제 연구 활발하게 진행 중

직장내 투여

- 좌약을 직장에 삽입하는 방법

- 효과발현이 빠르고 간에서의 최초 통과효과(대사)를 피할

수 있음.

점안, 점비, 질내 투여 : 국소적 효과를 고려한 외용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