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미생물학의 배경
1. 미생물과 미생물학
- 미생물 :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생물
- 병원 미생물 : 병원성을 갖는 미생물
- 미생물학 : 세균, 진균, 원생동물, 바이러스 및 몇몇 기생충 등과 같이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작은 생물의 연구
- 정상균무리 : 몸의특정부위에서 정상적으로 발생시키는 균들의 무리. 체내에서 이득과 해 둘다 되지 않고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많은 미생물
- 병원성 : 특정한 질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성질
- 독력 : 생물에 의해 진행되는 병원성에 대한 정도와 상대적인 힘
2. 미생물의 분류
- 세포의 형태에 따라 분류
진핵생물 | 원생생물 | *조류 | 단세포 |
*원생동물 | 단세포 | ||
점균류 | 단세포 | ||
진균 | *곰팡이 | 다세포 | |
효모 | 단세포 | ||
버섯 | 다세포 | ||
원핵생물 | 세균 | *알균 | 단세포 |
*막대균 | 단세포 | ||
*나선균 | 단세포 | ||
생물로 분류x but 미생물에는 속함 |
*바이러스 | 세포X |
특징
*조류 : 광합성, 독립영양생물
*원생동물 : 소화, 배설 담당의 세포소기관 발달, 운동기관 발달
*곰팡이 : 식물과 비슷, 엽록소 x = 광합성 x, 종속영양생물, 균사로 구성
*알균 = 구균(coccus) : 단알균, 쌍알균, 사슬알균, 포도알균 등이 있음
*막대균 = 간균(bacillus) : 단일막대균, 쌍막대균, 사슬막대균, 알막대균 등이 있음
*나선균 : (spirillum)
*바이러스 : 숙주특이적, DNA or RNA로 구성
3. 미생물과 관련된 역사적인 인물과 사건
- 1660년 이전 : 자연발생설과 신벌설이 기본이였으나 그리스시대에 더러워진 공기에 의해 전염병이 일어난다는 미아즈마설이 생김
- 1660년 : 레벤후크가 현미경을 개발
- 1800년 : 제너가 천연두 백신을 개발
- 1840년 : 제멜바이스는 손씻기를 제안
- 1850년 : 파스퇴르는 와인 부패의 원인이 세균임을 입증
- 1860~90년대 : 파스퇴르는 발효의 원인이 효모임을 발견, 광견병 백신을 개발, 리스터는 무균수술을 개척, 코흐는 결핵결절균과 콜레라균을 분리하였고 미생물의 순수배양기술 개발, 그람은 그람염색 기술을 발견 및 발전, 이바노프스키가 바이러스를 발견
- 1928년 : 플레밍이 페니실린(인류최초의 항생제)을 분리하고 동정함
4. 정상균무리와 병원체
- 정상균무리 : 건강한 개체에게서 질병의 원인이 되지 않는 많은 수의 미생물
- 병원체 :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미생물
- 검체체취시 정상균무리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
ex) 대장균은 장관에서의 정상균무리로 존재하지만 이들이 혈관이나 신장에 들어갔을 경우 심각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음
'1학년 > 병원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7장 면역과 항미생물체 (가장중요) (0) | 2022.04.20 |
---|---|
제 4장 감염예방 (0) | 2022.04.14 |
제 3장 의학미생물학 심화 (0) | 2022.04.06 |
제 2장 미생물과 세포 (0)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