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student :: 제 7장 면역과 항미생물체 (가장중요)

제 7장 면역과 항미생물체 (가장중요)

1학년/병원미생물학|2022. 4. 20. 02:09
반응형

1. 면역

 

1) 선천면역 (비특이적 면역)(선천)(1차)

-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면역으로 다시 감염에 대한 면역인 1차 면역과 감염 후 즉시 반응하는 면역인 2차 면역으로 분류됨

 

(1) 표면 방어력 (감염전 면역반응)

- 피부

- 섬막

- 섬모운동 : 외부 입자를 잡아서 강제로 밖으로 밀어냄

- 화학적인 반응 : 눈물의 리소자임, 타액(침), 위의 염산, 여성의 질의 분비물 등

 

(2) 내부방어 (감염 후 면역반응)

- 감염 후 즉시 반응하는 면역

- 호중구, 대신세포의 포식작용

- 보체단백질의 식균작용 촉진, 미생물 용해

- 인터페론 (감염되었다고 알려주는 신호)의 면역 증식 억제

- NK cell(자연살해세포) : 몸속을 돌아다니며 자신의 고유세포가 아닌 세포(감염된 세포, 종양)를 죽임으로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

 

2) 획득면역 (특이적 면역)(후천)(2차)

- 선천면역으로 방어하지 못한 비자기를 항원으로 인식 후 일어나는 면역반응

- 인식된 항원에 대하여 적응하면서 얻어지는 면역이기 때문에 그 항원에 대해서만 특이적이다

- 재감염된 항원에 대해 기억하여 빠르게 면역 반응을 보인다

 

(1) 세포매개성 면역

- 항원제시세포(대식세포)가 Th(보조 T세포)에게 항원을 제시 -> Th는 기억세포와 사이토카인 분비세포를 분화 -> 사이토카인 분비세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 -> (A, B, C) // A : 사이토카인이 대식세포에 작용해 더 많은 대식세포를 활성화 / B : 사이토카인이 Tc(세포 독성 T세포)를 활성화 / C : B 세포 활성화

 

(2) 체액성면역

- 이전의 세포매개성 면역 과정에 의해 활성화된 B 세포가 기억세포와 형질세포로 분화 -> (A, B) // A : 기억세포는 재감염시 다시 기억세포와 형질세포로 분화되어 빠르게 항체를 생성 / B : 형질세포는 다른말로 항체라고 부르며 특이성을 가진 항원에 작용하여 항원을 파괴하기 쉽게 해줌 (옵소닌화) 

 

(3) 수동면역

- 감염병을 가진 환자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환자에게 면역글로불린으로 불리는 이미 형성된 항체를 주사하는 것

- 지속기간이 짧고 면역글로불린의 소진 시 면역반응도 사라지게 됨

 

(4) 능동면역

- 수동에 비해 오래 지속됨

- 특정한 질병에 걸린 후 자연스럽게 형성

- 백신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5) 백신

- 인공면역 : 예방접종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약독화 생백신 혹은 불활성화 사백신을 사람에게 접종하게 되면 세포매개 및 체액성 면역에 의해 기억세포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 인공적인 수동면역 : 다른사람에게서 생산된 항체를 투여하는 것이기에 단 시간에 소멸한다

 

(6) 면역글로불린

- 면역글로불린은 항원의 자극을 받은 B 림프구가 형질세포로 분화한 후 만들어내는 단백질

-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로 기능

- 면역글로불린은 IgG, IgA, IgM, IgD, IgE로 분류가 가능하다

 

2. 항미생물제

 

1) 선택적 독성 

- 미생물 역시 세포로 이루어져있기에 미생물에 해가되는 화학요법제는 숙주인 사람의 세포에도 해가 될 수 있다

- 위의 이유에 의해 사람의 세포에는 독성이 적고 미생물에 독성을 잘 나타내는 선택적 독성을 가진 화학요법제를 사용해야한다.

 

2) 항생제

(1)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는 항생제

① 베타-락탐계

- 베타-락탐 구조를 가진 약물로 페니실린, 메티실린, 세팔로스포린계 등이 있다

- 모든 베타-락탐계는 세포벽을 구성하는 물질의 생합성을 저해하며 증식 중인 세균에 대하여 살균작용을 가진다

 

(2)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는 항생제

① 테트라사이클린계

- 테트라사이클린은 리보솜의 30S부분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저해한다

- 임산부나 9세 미만의 어린이는 미성숙한 영구치가 나올 수 있으므로 금기사항이다

 

② 마크로라이드계

- 에리스로마이신은 리보솜의 50S와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저해한다

 

(3) 핵산의 합성을 저해하는 항생제

① 퀴놀론계

- DNA 복제를 저해하고, 그 결과 살균효과를 갖는다

 

(4) 세포막의 기능을 방해 (=세포막 파괴)

- 암포테리신 B는 진균의 세포막에 있는 에르고스테롤과 복합체를 이루어서 소공을 만든다

- 사람에게도 독성을 줄 수 있으므로 국소적으로 사용한다

 

3. 미생물의 내성 기전

1) 효소분비

- 황색포도알균 등의 일부 세균은 베타-락탐 분해 효소를 분비한다

- 베타-락탐 분해 효소 : 베타-락탐 링 구조를 분해하는 효소이다

- 즉 세균이 분비하는 베타-락탐 분해 효소에 의헤서 베타-락탐 링 구조가 분해됨으로써 항생제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효소를 분비하는 세균은 이러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게 된다

 

2) 결합구조의 변화

- 메티실린 : 베타-락탐 분해 효소에 강한 항생제( 베타-락탐 분해 효소에도 분해되지 않음)

- MRSA : 세균 세포질막으 ㅣ페니실린결합단백질(PBP)의 구조를 변화시켜 결합하지 못하도록 한다

- 즉 구조가 변화된 세포질막의 PBP와 메티실린이 결합하지 못하게 되어 메티실린이 항생제로서의 기능을 못한다

-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 : 메티실린에 내성을 얻은 균

 

3) 펌프

- 일부 세균은 세포 안으로 들어온 항생제를 다시 내보낼 수 있는 펌프를 만들어 이용한다

반응형

'1학년 > 병원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4장 감염예방  (0) 2022.04.14
제 3장 의학미생물학 심화  (0) 2022.04.06
제 2장 미생물과 세포  (0) 2022.03.20
제 1장 미생물학의 배경  (0) 2022.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