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student :: 제 3장 의학미생물학 심화

제 3장 의학미생물학 심화

1학년/병원미생물학|2022. 4. 6. 17:25
반응형

1. 바이러스학

- 바이러스는 독을 의미하는 virulent에서 유래되었다.

- 최근들어 SARS, MERS, AI, SI, COVID-19등이 확산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1) 바이러스의 특징

-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이 존재하고 캡시드에 둘러싸여있다

- 바이러스는 살아 있는 숙주세포 안에서만 복제할 수 있는 절대 기생체이다

- DNA 또는 RNA를 가지고 있다

 

2) 바이러스의 형태와 구조

(1) 바이러스의 구조와 각 부분의 기능

- 핵산과 핵산을 보호하기 위해 단백질의 껍질로 이루어져 있다,

- 핵산은 DNA나 RNA중 어느 하나만을 가진다

- 캡시드 : 단백질 껍질

- 캡소미어 : 캡시드를 구성하는 단위체

- 뉴클레오 캡시드 : 캡시드에 핵산이 쌓은 구조의 형태

- 외피 보유 바이러스 : 캡시드의 바깥쪽에 외피라고 불리는 지질과 당단백질로 된 막으로 덮인 바이러스

-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 : 외피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바이러스

- 바이러스는 리보솜과 미토콘드리아가 없음

- 리보솜이 없으면 단백질합성을 할 수 없음

- 미토콘드리아가 없으면 에너지 대사를 할 수 없음

- 이분열로 증식하지 않고 복제 방식으로 증식

- 할생제로 치료하지 못하며 항바이러스제로만 치료가능

 

(2) 바이러스의 핵산

- 핵산은 DNA나 RNA의 하나만을 가진다

 

(3) 캡시드

- 핵산을 보호하고 바이러스 입자를 숙주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

 

(4) 외피

- 지질과 당단백질로 구성된 지질이중층의 막성분이다

- 외피는 세포에 흡착할 때 역할을 하며 알코올 등의 소독약처리등의 방법으로 파괴될 수 있다

 

3) 바이러스의 감염과 증식과정

- 리보솜이나 미토콘드리아 같은 세포 소기관이 존재하지 않기에 숙주셒의 기능을 이용하여 증식

- 인공배지에서 증식할 수 없으며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증식

- 숙주특이성이 있음

 

(1) 흡착

- 캡시드의 단백질이나 외피가 숙주 표면에 있는 바이러스의 수용체에 흡착

- 바이러스 증식과정에서 외피보유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막을 이용

 

(2) 세포 내 침입

막 융합

- 외피가 숙주세포의 세포막과 융합하여 들어가는 방법

- 외피 보유 바이러스 대부분의 방법

 

세포내유입

-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 대부분의 방법

 

(3) 분리

 

(4) 핵산의 복제와 단백질의 합성

 

(5) 핵산과 캡시드의 조립

 

(6) 세포 밖 방출

-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는 세포막을 뚫고 방출됨으로써 세포를 사멸 

- 외피 보유 바이러스의 경우 세포막에서 새로운 바이러스가 계속 방출되기에 계속적으로 이용되어 사멸

 

3. 진균

- 효모, 곰팡이로 나뉘어진다

- 진균은 사람세포의 콜레스테롤 대신에 에르고스테롤을 갖는다

- 진균감염은 치료하기 어렵다

 

1) 효모

- 효모는 단세포로 스스로 영양분을 생산하지 못한다

- 살아있는 개체의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해서 성장한다

- 가장 중요한 효모종은 칸디다이며 피부사상균에 의해 감염된다

 

 

반응형

'1학년 > 병원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7장 면역과 항미생물체 (가장중요)  (0) 2022.04.20
제 4장 감염예방  (0) 2022.04.14
제 2장 미생물과 세포  (0) 2022.03.20
제 1장 미생물학의 배경  (0) 2022.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