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student :: 심장 정리

심장 정리

반응형

★★12. 심장★★심장파트 중요함!!!

-심장은 여러 혈관과 연결되어 있음. , 심장에서 혈액을 뿜으면 뿜어낸 혈액이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순환함.

 

12.1 심장의 기능[혈압생성, 혈액전달, 혈류의 일방통행 보장, 혈액공급 조절]

혈압생성: 심장의 수축은 혈액을 혈관을 통해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혈압을 생성함.

혈액전달: 심장은 허파순환과 전신순환을 분리하여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조직으로 가도록 보장함.

혈류의 일방통행 보장: 심장의 판막은 혈류가 심장과 혈관을 통해 일방통행 하는 것을 보장함.(역류하지 않는다)

혈액공급 조절: 심장 박동수와 수축력의 변화는 혈류를 휴식, 운동 및 체위변화에 따른 조직의 대사요구량 변화에 부합하게 함. (심장이 각 조직이 필요한 만큼 거기에 맞춰 심박동수와 수축력을 변화함.)

 

[순환계통의 개요]

-심방들어오는 곳(정맥)

-심실나가는 곳(동맥)

-순환계통은 허파순환전신순환으로 구성됨.

-심장의 오른쪽은 허파순환을 통하여 혈액을 허파로 보내고 심장의 왼쪽으로 되돌아오게 .

(우심실허파(교환)왼심방)

-심장의 왼쪽은 전신순환을 통하여 혈액을 조직으로 보내고 심장의 오른쪽으로 되돌아오게 .

 

12,2 심장의 크기, 모양과 위치

-정상 성인 심장의 모양은 뭉툭한 원뿔 모양이며 주먹을 꽉 쥔 정도의 크기임. 심장은 약간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 며, 좌우에 허파()가 있음. 갈비뼈와 복장뼈(심폐소생술시) 안에 위치함.

-심장에서 둥근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을 심장꼭지(심첨,apex)라 하고,

반대편의 크고 편평한 부분을 심장바닥(심저,base)라 함.

-심장은 허파를 감싸고 있는 두 개의 가슴막 사이에 있는 흉강 내에 위치함. 심장, 기도 식도 및 연관된 구조물들은

가슴세로칸이라고 부르는 중앙칸막이를 형성.

 

12.3 심장의 해부학

[심장막]

-심장막은 바깥쪽의 섬유심장막과 안쪽의 장막심장막으로 구성된다. 장막심장막은 벽쪽심장막내장쪽심장막이라 는 두 층으로 나뉨. 내장쪽심장막은 심장을 가장 안쪽에서 바로 싸고있고, 벽쪽심장막은 섬유심장막의 안쪽을 덮고 있어, 섬유심장막에 싸여있다

-벽쪽심장막과 내장쪽심장막 사이에는 약간의공간 즉, 심장막안이 있고 이것은 심장막액으로 채워져있으며,

심장막액은 심장이 수축할 때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함.

 

[심장의 표면해부학] (심장의 껍질부분)

-오른·심방심장의 바닥쪽에 위치하고, 오른·심실심장의 바닥쪽에서 시작하여 꼭지쪽을 향해 확장함.

-방실사이고랑(패어있는 상태)심방과 심실을 분리. 이곳에서부터 두 개의 고랑이 오른심실과 왼심실 사이를

구분하면서 아래쪽으로 향해 위치한다. 이들 중 앞심실사이고랑은 심장의 앞면에 위치하며 방실사이고랑에서

아래쪽으로 뻗어나가고, 뒤심실사이고랑은 심장의 뒷면에 위치하여 방실사이고랑에서 아래쪽으로 뻗어나간다.

-온몸에서 온 혈액을 오른심방으로 옮기는 위대정맥, 아래대정맥이 있고, 허파에서 온 혈액을 왼심방으로 옮기는

4개의 허파정맥이 있다.

-심장에서 시작하는 두 개의 큰 동맥 중에서 허파동맥오른심실에서 시작되어 오른허파동맥과 왼허파동맥으로

갈라지며, 대동맥왼심실에서 시작되어 온몸으로 혈액을 보낸다.

 

[심장 내부의 해부학]

-심장은 근육성 펌프이며, 4개의 방, 즉 오른심방과 왼심방, 오른심실과 왼심실로 이루어짐.

-심방과 심실의 구역이 나눠지지 않으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뒤섞이게 됨. 전신으로 뿜어내는 혈액은 산소가 많아야 하는데 이산화탄소가 섞인 혈액이 같이 뿜어 나오면서 청색증 같은 심장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오른심방과 왼심방>

-심방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아들임. 심방의 일차적인 기능은 혈액의 저장고.

-오른심방과 왼심방은 심방사이막(심방중격)에 의해 서로 구역이 나뉨.

 

<오른심실과 왼심실>

-심실혈액을 뿜어내는 펌프기능 역할을 하는 주요한 부분임. 심실은 동맥으로 혈액을 박출하고, 심실의 수축력에 의해 혈액은 순환계통을 흐를 수 있게 됨.

-오른심실과 왼심실은 근육성 조직인 심실사이막에 의해 서로 구역이 나뉨.

-왼심실벽의 두께는 오른심실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왼심실은 오른심실보다 강력하게 수축하고 더 높은 혈압을 생산한다. 왼심실이 수축하면 혈압이 약 120mmHg에 이르지만, 오른심실이 수축하면 왼심실의 혈압의 1/5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오른심실은 허파로 밖에 혈액이 안가지만, 왼심실에서 빠져나가는 혈액은 전신으로 혈액을 뿜어내야하기 때문에

혈액은 훨씬 더 강력하게 수축하게 되고, 근육이 더 발달하여 두께가 두꺼워 질 수 밖에 없음!!

 

**정리심장은 오른심방, 오른심실, 왼심방, 왼심실 즉, 4가지 방으로 나눠짐. 심장의 앞모습에서는 주로 우측이

많이 보이고, 왼심방과 왼심실은 심장의 뒤모습에서 살펴볼 수 있다.

**심방으로 들어오는 혈액은 모두 정맥이라고 하고 심실에서 나가는 혈액은 모두 동맥이라고 한다.

**혈액의 흐름

오른심방의 위에는 위대정맥, 아래에는 아래대정맥이 연결되어 있고, 이 두 정맥이 오른심방으로 들어오게 됨.

오른심방을 통해 내려온 혈액은 오른심실을 통해 허파동맥(좌우에 허파동맥가지가 있음. ? 허파는 양쪽에있기 때문에.)으로 나감.

혈액이 왼허파동맥가지, 오른허파동맥가지를 따라 왼허파, 오른허파로 들어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짐.

허파에서 나온 오른허파정맥왼허파정맥왼심방으로 들어감.

왼심방에서 혈액이 차게되면 압력차에 의해 왼심실로 혈액이 들어옴.

왼심실에서는 대동맥을 통해 혈액이 전신으로 뿜어져 나감.

 

 

[심장의 판막]

※판막 :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

-방실판막심방과 심실사이의 판막임. 방실판막의 기능은 심방에서 심실로 이동한 혈액이 다시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것이다. 방실판막은 힘줄끈(건삭)과 연결되어 있으며, 꼭지근에 매달려 있음.

(꼭지근 수축방실판막 열림, 꼭지근 이완방실판막 닫힘)

-오른심방과 오른심실 사이의 방실판막은 첨판이 3개이기 때문에 삼첨판막이라고 하며,

-왼심방과 왼심실 사이의 방실판막은 첨판이 2개이기 때문에 이첨판막(승모판막)이라고 함.

 

-각각 세 개씩의 주머니 모양의 반달첨판(반월첨판) 심실과 동맥사이의 판막임. 대동맥과 허파동맥이 시작하는

입구에 각각

-왼심실에는 대동맥판막

-오른심실에는 허파동맥판막이 있음.

-심실이 수축하면, 증가된 압력에 의해 반달첨판이 열리고, (동맥을 통해 혈액이 나가기위해)

심실이 이완하면, 대동맥과 허파동맥의 압력이 심실속의 압력보다 높아져 반달판막이 닫힌다.

(혈액은 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른다.)

 

★★<심장의 이완, 수축 시 판막의 열고 닫힘>★★매우중요!!꼭 알아야함!!!

-왼심실이 이완될 때는 왼심방의 압력이 높아져 왼심방이 수축을 하게되고, 이첨판막이 열려 혈액이 심실로 내려감.

이때, 대동맥의 혈류는 이완되면서 대동맥판막은 닫히고, 대동맥의 혈액이 왼심실로 들어올수 없게된다.

(이첨판막이 열려 혈액이 심실로 내려갈 때 대동맥판막이 열려있으면 혈액이 새어나가기 때문에)

**★★왼심실 이완: (왼심방 수축이첨판막 열림혈액이 왼심실로대동맥판막 닫힘)★★

 

-왼심실이 수축될 때는 왼심실이 혈액으로 꽉 차 왼심방보다 압력이 훨씬 커져 수축을 하게 됨.

왼심실이 수축할 때는 심방으로 새어나가는 혈류를 막기 위해 이첨판막이 닫히고, 대동맥판막은 열려서

대동맥을 따라 수축한 혈액이 전신으로 내뿜어짐.

**★★왼심실 수축: (왼심실 수축이첨판막 닫힘대동맥판막 열림대동맥을 통해 혈액분출)★★

 

[심장의 혈액 공급](심장 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심장벽을 구성하는 심장근육은 두껍고 대사활동이 매우 활발하다.

-심장은 휴식기가 없기 때문에 계속 운동함. 혈관에서 혈액을 계속 공급받아야 함.

 

<심장동맥>

-두 개의 심장동맥이 심장벽에 혈액을 공급함. 심장동맥은 대동맥판막의 바로 위쪽의 대동맥 바닥에서 분지함.

-왼심장동맥은 대동맥의 왼쪽에서 시작하며, 앞심실사이가지, 휘돌이가지, 왼모서리가지라는 세 개의 주요 분지가 있음.

-오른심장동맥은 대동맥의 오른쪽에서 시작하며, 뒤심실사이가지, 오른모서리가지가 있음.

-휴식상태에서 뼈대근육으로 가는 혈액 속의 산소는 약 25%정도만 소비되는 반면, 심장동맥의 혈액에 있는 산소는 거의 70%가 소모된다. 운동을 하게 되면 뼈대근육으로 가는 혈액 속의 산소 소모율이 70% 이상 증가하지만,

운동하는 동안에도 심장근육으로 보내지는 산소 비율은 충분히 증가되지 않는다.

 

<심장정맥>

-심장정맥은 심장근육에서 온 혈액을 운반한다.

-심장정맥의 경로는 거의 평행하며 혈액 대부분은 심장 뒷면의 방실사이고랑에 있는 큰 정맥인 심장정맥굴

유입된다. 심장정맥굴의 혈액은 오른심방으로 유입된다.

**★★꼭알아야함 중요!!심장정맥의 경로: 심장정맥심장정맥굴오른심방오른심실허파···순환★★

 

**정리두 가지의 심장혈관(심장동맥, 심장정맥)

-심장동맥: 심장 자체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임. 대동맥 판막 가까이에 위치하며, 오른쪽·왼쪽으로

뻗어나가 온 심장에 있는 근육으로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혈관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심장정맥: 심장근육에서 나온 노폐물을 혈액을 통해서 운반함. 심장정맥굴오른심방

 

 

 

12.4 심장의 조직학

[심장벽]

-심장바깥막성긴결합조직과 지방조직을 덮는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됨.

-심장의 중간층인 심장근육층은 심장의 벽 구조에서 가장 두꺼움.

-심장의 부드러운 안쪽 표면은 결합조직을 덮고있는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된 심장속막에 의해 덮여 있음.

 

★★중요!![심장근육의 특징]★★

-심장근육세포는 길쭉하게 갈라진 모양이며 중심부에 한 개 또는 드물게 두 개의 핵이 있음.

-심장근육은 가로무늬근, 불수의근.

-근육이 수축하는 데 칼슘과 ATP가 필요한데, 심장근육세포에는 사립체가 풍부하여 심장근육이 요구하는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빠르게 ATP를 생산.

-심장근육세포는 나선형다발 또는 판모양으로 구성됨.

-사이원반이 세포 사이사이에 있어서 세포의 끝과 끝, 또는 가쪽의 세포와 서로 연결되어 있음. 사이원반은 인접한

세포를 서로 잘 연결시켜서 수축하는 동안 세포가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

하나의 세포가 수축하면 따라 수축함.

-사이원반에 있는 특화된 막 구조를 간극결합(틈새이음)이라고 하며, 활동전위가 다른 세포로 쉽게 퍼지게 하여,

심방과 심실에 있는 심장근육세포가 거의 동시에 수축하게 함.

 

12.5 심장의 전기적 활성

[심장근육의 활동전위]

-뼈대근육과 신경세포의 활동전위와 마찬가지고 심장근육에서도 탈분극재분극이 나타남.

-뼈대근육의 활동전위는 1000분의 2초이내에 완료되는 것에 비해 심장근육의 활동전위는 1000분에 200~500

정도 유지됨. 게다가 뼈대근육과 달리 심장근육의 활동전위는 세포에서 세포로 전도됨.

심장근육이 뼈대근육보다 100배 정도 느림.

-심장근육에서 각 활동전위는 탈분극기고원기라고하는 느린 재분극기로 이루어짐. 심장근육은 고원기가 있기

때문에 뼈대근육만큼 빨리 재분극되지 않음.

-고원기는 탈분극기에서 일정시기 유지함.

?심장은 혈액을 뿜어냈다가 다시 이완(혈액이 채워지는 시기)하는 시기가 있기 때문에 일정시기가 필요함.

 

[심장전도계통]

-신경자극에 의해서만 수축하는 뼈대근육과 달리 심장근육은 신경자극 없이도 수축이 가능하다.

심장벽의 심장근육세포가 특화되어 형성심장전도계통에 의해 조절됨.

-심장전도계통에 있는 모든 세포는 자발적인 활동전위를 생성할 수 있음.

-★★심장전도계통★★

활동전위는 굴심방결절에서 시작하여 방실결절로 심방의 벽을 통과하여 이동한다.

활동전위는 방실결절을 통과하여 방실다발을 따라 이동한다.

방실다발은 오른방실다발갈래왼방실다발갈래로 나뉘고, 심장꼭지 쪽으로 내려간다.

심장속막밑가지에 의해 심실벽으로 이동한다.

 

 

[심전도] ★★정상심전도가 뭐로 구성되는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꼭 알기!!!!★★

-심장근육세포에서 발생한 활동전위에 의해 생산된 작은 전기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런 전기적 변화의

기록을 심전도라고 함.

-정상심전도는 P, QRS복합, T로 구성됨.

-P심방의 탈분극 때문에 생기고, P파가 시작되어 진행하면, 심방의 수축이 일어남.

-QRS복합Q, R파와 S파라는 세 개의 독립적인 파들로 구성됨. 심실의 탈분극 때문에 생기고, QRS복합이 시작되어 진행하면 심실의 수축이 일어남.

-T심실의 재분극 때문에 생기고, T파가 시작되어 진행하면 심실의 이완이 일어남.

 

12.6 심장주기

-심장주기는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음.

-심방수축기: 두 심방이 수축한 것

-심실수축기: 두 심실이 수축한 것

-심방이완기: 두 심방이 이완한 것

-심실이완기: 두 심실이 이완한 것

 

<심장주기 동안 일어나는 일>★★중요!!!

심실의 수축하기 직전에는 심실의 압력이 증가. 거의 동시에 방실판막은 닫히고, 반달판막은 열림.(1심음: )

계속된 심실의 수축으로 인해 심실의 압력은 대동맥과 허파동맥의 압력보다 커짐.(대동맥,허파동맥으로 밀려나감)

따라서 반달판막이 열리고, 방실판막은 닫히면서 혈액이 대동맥과 허파동맥으로 박출됨.

심실수축 후, 심실의 이완이 시작되면, 반달판막이 닫히고, 방실판막이 열림.(2심음: )

방실판막이 열리면서 혈액이 심실로 이동.

심방이 수축하고 심실충만기가 완료.

*~과정 반복됨*

 

12.7 심음(판막이 닫힐때 나는 소리)

-심음은 주요한 두 개의 소리로 구성됨.

-1은 소리 럽(lupp)으로 표현하고, 심실이 수축될 때 방실판막이 닫히면서 발생하는 소리임.

-2심음은 소리 덥(dupp)으로 표현하고, 심실이 이완될 때 반달판막이 닫히면서 발생하는 소리임.

-1심음은 제2심음보다 소리의 높이가 낮고, 길다. 2심음은 제1심음에 비해 소리가 높고, 날카롭다.

-비정상적인 심음인 심장잡음은 대게 판막의 이상 때문에 생김.

예를들어, 판막부전증 때문에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혈액이 새면서 소리가 발생함.

판막의 개구부가 좁아진 협착증

 

12.8 심장 기능의 조절

-심장박출량분당 심실에 의해 박출되는 혈액량.

-일회박출량은 심장이 한번 수축하 때 박출되는 혈액량이고, 심장박동수는 분당 심장이 수축하는 횟수임.

심장박출량(CO)=일회박출량(SV)×심장박동수(HR)

-평상시에 심장박동수는 약 72 beats/min이고, 일회박출량은 약 70ml/beat이기 때문에 심장박출량은

5L/min.

-운동선수들은 운동에 의해 심장의 크기가 커져있어서 일회박출량이많고 심장박동수가 적은 경향이 있다.

(심장이 많이 안 뛰어도 혈액이 많이 뿜어내므로)

-운동을 할때, 일반인의 심장박동수는 1분당 190회정도, 일회박출량은 115ml/beat까지 증가할수 있음.

따라서 심장박출량은 약 22L/min까지 증가할 수 있음.

-일회박출량과 심장박동수를 조절하는 기전은 내재적 조절외재적 조절로 분류할 수 있다.

 

[심장의 내재적 조절]대표적: Starling 법칙!

-심장의 내재적 조절심장 자체가 가지고 있는 조절기전을 뜻함.

-복귀정맥혈은 심장으로 돌아온 혈액량이고, 심실이완이 완료되었을 때 심실벽이 늘어난 정도를 전부하라고 함.

만약, 복귀정맥혈이 증가하고, 심장에 혈액이 많아져서 심장근육섬유가 늘어나면 전부하가 증가한다.

이에 대응하여, 심장근육섬유가 더 큰 힘으로 수축한다. 수축력이 증가할수록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량이

증가하여 일회박출량이 증가한다.

Starling 법칙: 복귀정맥혈, 전부하(늘어나는 힘), 박출량<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Starling 법칙 : 심방에서 심실로 혈액충만이 증가되고, 더 많은 혈액을 담게된 심실근육은 늘어나면서 더 큰 수축력을 발휘하게 됨. 더 많이 들어온만큼, 더 많이 박출함.

 

[심장의 외재적 조절]

-심장의 외재적 조절신경이나 화학물질과 같이 심장 바깥쪽에서 심장을 조절하는 기전을 뜻함.

 

<신경조절: 압력수용기 반사>

변화시작혈압증가: 항상성이 깨짐

목동맥 대동맥에 있는 압력수용기는 혈압의 증가를 감지.

에 있는 심장조절중추는 심장과 부신속질로가는 교감신경 자극을 감소시키고, 심장의 부교감신경 자극을 증가시킴.

효과기인 굴심방결절과 심장근육활성도가 감소하여 심장박동수와 일회박출량이 감소

혈압감소: 항상성을 회복

<반대의 경우는 반대로 생각하면됨!!>

 

<화학적조절: 화학수용체 반사>혈액의 pH, 이산화탄소농도가 주된 지표가되어 화학수용체의 기능을 함!!

변화시작혈액의pH증가(염기에 가깝다는 뜻): 항상성이 깨짐 참고)Co2산성, Co2염기

숨뇌에 있는 화학수용체는 혈액의 pH가 증가한 것을 감지함 [!!이산화탄소 부족!!], 에 있는 조절중추는 심장과 부신속질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킴.

효과기인 굴심방결절과 심장근육활성도가 감소하여 심작박동수와 일회박출량이 감소하며, 허파로가는 혈류가 줄어듬.

혈액의 pH감소: 항상성을 회복

<반대의 경우는 반대로 생각하면됨!!>

 

**꼭봐야함!!!★★<심장의 외재적 조절의 정리!!!!>★★

-감각신경세포는 압력수용기의 활동전위를 심장조절중추로 전달. 숨뇌의 화학수용체는 심장조절중추에 영향을 줌.

-심장조절중추는 심장과 연결된 교감신경뉴런, 부교감신경뉴런의 활동전위 빈도를 조절. 부신속질과 연결된 교감신경뉴런의 활동전위 빈도에 영향을 줌.

-교감신경심장박동수와 일회박출량을 증가시킴. 전신순환 속으로 분비되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양을 증가시킴.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심장박동수와 일회박출량을 증가시킴.

-부교감신경심장박동수를 감소시킴.

 

 

반응형

'1학년 > 해부생리학 (인체의 구조와 기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림프계통과 면역계통 정리  (0) 2022.01.08
혈관과 순환계통 정리  (0) 2022.01.07
혈액 정리  (0) 2022.01.07
내분비계통 정리  (0) 2022.01.06
감각계통 정리  (2) 2022.01.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