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질병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 호흡기계 : 코에서부터 폐포에 이르는 공기의 전달통로
- 상부기도 : 세균, 먼지등을 여과, 가습, 점막에는 상피세포오 배세포가 존재
- 호흡기는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서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기도평활근이 이완되고 내강이 넓어져 많은 공기가 유입
- 폐포 : 폐의 대부분을 차지함, 모세혈관의 혈액과 폐포 내의 공기 사이에 가스교환이 일어난다.
- 정상인의 흡기량은 7L/분
- 약 5L 정도가 폐포 호흡에 이용된다.
- 호흡세기관지에서부터 폐포까지는 확산에 의한 기체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 충분한 양의 공기 흡입과 폐포관과 폐포벽을 통하여 일어나는 공기의 빠른 확산 그리고 적절한 폐순환이 필요하다.
- 위의 3가지중 한가지라도 장애가 생기면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 대부분의 호흡기 질병의 초기증상 : 기침, 천명, 숨가쁨과 같은 호흡곤란 증상을 나타냄
-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채로 말기로 진행되기도 함
상기도 감염
- 상기도 감염증은 대부분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
- 리노바이러스 : 발열, 기침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제가 없어 대증요법(해열제, 진통제등)으로 증세를 완화시킨다
비염
정의
- 코 및 주위 조직에까지 염증이 생긴 상태로 일명 코감기라고 한다.
원인
- 바이러스, 알레르기 항원등이 원인이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알레르기항원 접촉 -> 부종, 점액분비, 호산구 침윤 -> 세균이 침입한다면 점액 화농성 삼출물 분비
만성후두염
정의
- 후두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
원인
- 흡연, 대기오염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표면상피의 변화와 점액분비의 증가를 보인다
급성 만성 기관지염
정의
- 기관지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원인
-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먼지 등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의해 발생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흡연 -> 상피화생 -> 섬모운동 결여 -> 삼출물 정체 -> 만성기관지염
- 대기오염 -> 기관지 자극 -> 삼출물 다량분비 -> 섬모운동 결여로 인한 삼출물 정체 -> 만성기관지염
★폐렴★
- 폐렴은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및 폐포의 미생물 감염에 의한 염증반응
- 기관지폐렴 : 세기관지와 말초의 폐포에서 염증이 생기는 것
- 엽성폐렴 : 한개의 엽 전체로 확산되는 것
- 간질성폐렴 : 간질에 주로 발생하는 것
기관지폐렴
- 상부호흡기도에 다양한 원인균이 감염을 일으킨 후 세기관지로 간염이 전파된다.
- 폐하엽에 세균감염으로 세기관지염이 발생하면 삼출물이 정체된다.
- 가스교환 장애가 발생하고 세균 확산으로 폐렴이 확산된다.
엽성 폐렴
- 1개 이상의 엽에 염증이 퍼진 상태
- 엽의 모든 폐포가 영향을 받는다
간질성 폐렴
- 간질성 폐렴은 폐포간질에 국한되어 염증세포가 침윤하고 섬유화로 진행되므로 흔히 폐섬유증이라고도 함.
- 폐기능검사에서 폐환기 감소와 확산능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제한폐질환이 대표적이다.
- 원인은 불명인 경우가 더 많고 주로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나타나고 마른기침이 특징이다.
폐결핵
- 결핵균의 감염에 의하여 발현하는 만성육아종소모성 질환으로 전신의 모든 장기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이 폐결핵이다.
- 감염경로 : 폐로 침입하는 비말감염이 대부분이다.
- 원발성 폐결핵과 속발성 폐결핵으로 분류한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결핵균 흡입 -> 결절형성 -> 결절 주위에서 염증 호발 -> 기관지 침범 -> 기침, ★객담★ 배출 -> ...
★원발성 폐결핵(일차폐결핵) [★원발성과 속발성의 차이점 구분★]
- 이전에 결핵균이 노출된 적이 없거나 하엽의 흉막 바로 아래 부위를 침범하여 치즈괴사 병소를 형성하는데 이것을 곤결절이라 하며 자각증상은 거의없다
- 결핵균은 폐의 림프절까지 침범한다.
- 대부분의 경우 무증상이거나 경한 증상을 나타내고 섬유화나 석회화로 치유된다.
★속발성 폐결핵★
- 일차감염 때 있던 균이 다시 활성화 또는 재감염으로 인해 발생
- 재발의 경우에는 초기 감염부위에서 직접 폐첨으로 병소가 확대되고 그곳에서 치즈괴사를 일으킴
- 괴사의 중심부가 기침으로 인해 기관지를 통해 배출되면 그 부위에 개방성 공동을 형성한다
- 병이 진행됨에 따라 식은땀, 미열, 기침, 혈액이 섞인 가래등이 나온다
- 중심에 공동과 치즈 모양의 황색 괴사물이 있는 결절이 관찰됨
- 원발성 결핵과는 달리 림프절침범은 거의 없다.
속립성 결핵
- 결핵균이 폐 림프절에서 정맥으로 도달해 혈류 속으로 침입해 분산하면 전신 장기에 좁쌀 크기 정도의 결핵 병소가 다수 형성됨
★폐기종★
정의
- 호흡세기관지, 폐포관과 폐포가 비가역적으로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
원인
- 유전적으로 안티트립신이 결핍되었거나 대기오염, 흡연과 같은 개인습관, 폐 염증등에 의해 발생
- 알파Ⅰ 안티트립신이 결핍되면 단백분해효소를 불활성화 하지 못하고 폐조직의 파괴가 진행되어 폐기종이 나타난다.
- 흡연의 경우 폐포의 대식세포나 중성구가 활성화 되어 분비하는 단백분해효소에 의해 폐포의 파괴가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잘 구분하기)★
천식
- 진드기,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항원의 흡입이 원인이 되어 기관지가 발작적으로 경련과 협착을 일으키는 질환
- 호흡곤란과 쌕쌕거림을 주증상으로 나타냄
- 병태는 기도과민 및 기도염증이며, 알레르기항원이나 기도자극물의 흡입에 의해 기도평활근 수축, 점액분비증가, 염증세포침윤이 일어난다.
- Ⅰ형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아토피성 천식과 기관지의 만성염증과 과민에 의한 내인성 천식이 있다.
- 아토피성 천식은 소아에게 많이 발생하며 말초혈액 중에는 호산구와 igE가 증가한다.
- 내인성 천식은 어느련령에서나 발생한다
- 병리적 소견으로는 폐는 팽창하고, 발작 시 기관지는 평활근 수축에 의해 협착된다.
- 점막에는 호산구를 주로 하는 염증세포 침윤, 기저막의 비후, 배상세포의 증가로 인해 점액분비가 증가한다
★기관지확장증★
정의
- 기관지가 심하게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
원인
- 감염, 기관지 폐쇄, 진폐증, 폐의 선천성 질환, 췌장의 섬유낭성 질환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폐렴이나 기관지염이 생기면 폐렴으로 인한 흉막 유착과 섬유화로 폐 확장이 감소되고 기관지염으로 점액성 삼출물이 정체되며, 기관지 내강이 협착되면 기침, 객담, 호흡곤란, 청색증이 나타난다.
★무기폐★
정의
- 폐가 확장되지 않아 적절한 흡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주로 미숙아에게 발생한다.
원인
- 호흡중추부전, 표면활성물질 결핍이 원인이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1) 호흡중추부전 -> 폐확장 장애 -> 불완전한 가스교환 -> 호흡곤란, 청색증
- 2) 표면활성물질 결핍 -> 폐 확장 장애 -> 호흡곤란, 청색증
★폐암★
- 폐암의 발생은 65세 이상에서 가장 많다
- 가장 중요한 발생인자는 흡연이다
- 기관지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종이 가장 흔하다
- 다른 장기에서 폐로 전이된 암이 폐의 원발암보다 더 흔하게 발생한다
편평상피암종
- 폐암의 약 40%를 차지하며 가장 빈도가 높은 폐암으로, 흡연과 관련이 많아 남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 주기관지에 형성된 형성이상편평살피에서 발생
- 기관지를 폐쇄함
선암종
- 폐암의 약 40%를 차지하며 흡연과 관련이 적어 여성이나 비흡연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 세기관지상피로부터 폐포의 상피에서 주로 발생
-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어서 예후가 좋지 않다
- 흉터부위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반흔암이라 한다
★소세포암종★
- 남자에게 주로 방생함
- 주기관지에서 주로 발생하고 폐암 가운데 가장 공격적이며 조기에 광범위한 전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거의 폐문에서 발생함
- 초기부터 광범위한 침윤과 전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재발이 많아 결과적으로 다른 형태의 암보다 예후가 나쁘다.
★대세포암종★
- 진행이 빠르며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아 예후가 나쁘다.
★흉강 내 액체 또는 공기 저류로 인한 장애★(의학용어 구분해서 꼭 외우기)
- 혈흉(hemothorax)
- 수흉(hydrothorax)
- 유미흉(chylothorax)
- 기흉(pneumothorax)
- 농흉(pyothorax)
'2학년 >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분비계 질환 (0) | 2022.02.24 |
---|---|
소화기계 질병 (0) | 2022.02.24 |
심혈관계 질병 - B. 혈관계 질환 (0) | 2022.02.22 |
심혈관계 질병 - A. 심장질병 (0) | 2022.02.20 |
면역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