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간호
안전간호 자율학습
체위의 종류와 각각의 체위가 필요한 경우
1. 앙와위 : 복부, 융곽, 골반, 상하지수술
2. 측위 : 아래쪽 팔의 압력을 감소
3. 변경된 측위 : 배액촉진, 관장, 항문검사
4. 심스체위 : 항문검사, 구강, 상기도 분비물 배양
5. 복위 : 인체의 뒷부분을 수술할 때
6. 파울러 체위 : 횡격막의 수축, 이완이 용이
7. 절세위 : 질 수술, 방광경, 자궁경부, 직장검사
8. 배황와위 : 질검사
9. 슬흉위 : 분만 후 산후운동. 월경통 완화, 직장 대장 검사
10. 트렌델린버그 체위 : 쇼크치료시, 하복부 수술, 골반수술, 내경정맥 외경정맥 천자시
11. 잭나이프 : prone 에서 치질, 모소낭절제술, 이골수술, s상 결장 검사시
관절의 움직임에 관련된 용어
- 외전, 내전, 순환, 굴곡, 신전, 과신전, 족배굴곡, 족저굴곡, 외전, 내회전, 외회전
체위 제공의 기본 지침
1. 해부학적 자세에 가깝게
2. 알맞은 신체선열을 유지 위해 지지대 사용가능
3. 압력, 마찰, 응전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4. 관절은 약간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근육의 긴장상태를 막을 수 있다
5. 체위변경은 2시간마다 시행한다
6. 금기가 아닌 경우 모든 환자는 운동이 필요하다.
7. 핑요시 가능한 최대의 rom을 움직이도록 한다.
대상자 안전의 중요성을 기술
- 의료기관은 대상자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책임과 의무가 있으며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에서 환자 안전이 제일 우선이 되어야 한다.
억제대 사용 시 주의점
- 억제대가 같은 기구 압박 x
- 억제대를 너무 조이지 말고 손가락 두개정도 들어갈 정도로 조이는 것이 좋다
- 억제대를 제거한 상태에서 폭력, 공격적인 대상자는 혼자 두면 안된다
- 억제대는 신체움직임을 제한하므로 대상자에게 음식, 수분공급, 배뇨 등 도움을 줘야 한다
- 억제대 적용해야햐 하는지 24시간마다 체크, 가능한 빨리 제거
- 억제대 적용시 가족의 동의를 구함
- 대상자와 가족에게 필요성을 설명하고 불안감을 없애 협조를 받을 수 있게 함
'2학년 > 기본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구투약 (0) | 2022.03.05 |
---|---|
간헐적 위관영양 (0) | 2022.02.28 |
배출관장 (0) | 2022.01.10 |
유치도뇨 (0) | 2022.01.10 |
단순도뇨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