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student :: 약리학 각론 - 5장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약리학 각론 - 5장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2학년/약리학|2022. 5. 10. 20:42
반응형

A 신경을 통한 정보전달

중추신경계(CNS)

말초신경계(PNS)

- 자율신경계 (불수의적;자의로 조절 불가능)

- 교감신경계 : 위기상황

- 부교감신경계 : 편안한 상태, 맛있는거 먹을 때!

 

신경세포

- 신경기본단위 : 뉴런

- 신경말단 연결부위 : 시냅스

*시냅스 :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전달하거나, 일부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기도, 나온 신경전달물질이 다시 재흡수도 함

 

신경전달물질

- 콜린성 신경 : acetylcholine을 방출

- 아드레날린성 신경 : norepinephrine을 방출

*acetylcholine효소에 의해 acetatecholine으로 분해

 

 

 

 

B 자율신경계와 약리작용

 

자율신경계의 기능 (★★중요★★)


교감신경 흥분 시
(위기상황)
부교감신경 흥분 시
(편안한 상황)
심장박동 증가 감소
기관지 확장 수축
소화관 운동 억제 항진
말초혈관 수축 확장
동공 산대 축소
()분비 억제 항진

*자율신경계 분포

: 내장평활근(소화관, 기관지, 혈관, 자궁), 심근, 분비선, 표적기관(: , , 심장 등)

(p.143 그림 5-4)

 

자율신경계의 기능에 관계되는 주요약물 작용기전

효능제

: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효과 일으킴

길항제

: 전달물질이 그 수용체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

분해효소 저해

: 방출된 전달물질로 하여금 그 활성을 잃게 하는 효소작용을 억제

신경의 재흡수 억제

: 방출된 전달물질이 되돌아가게 하는 기전을 억제

억제

: 신경절전 세포에서 신경전달물질 방출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수용체에 결합함

유리 억제

저장억제

: 소포 내로 신경전달물질의 저장을 억제

C 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 교감신경계 흥분과 같음

 

아드레날린성 효능제의 약리작용

수용체에 직접 결합

norepinephrine 분비를 자극 (ex) amphetamine)

➂ ➀,의 역할을 모두하는(ephedrine)

 

아드레날린성 효능제의 임상적용

혈관 수축

- 비점막의 출혈 시 사용

심장의 박동 수축

- 심정지 시 epinephrine 직접 투여

- 고혈압 치료 시 α₁ 길항제 사용

- 심혈성 쇼크 상태에선 혈관이 굉장히 수축되어 있어

dopamine을 수액에 섞어 정맥주입

혈관을 확장시켜 신장에 혈액 공급 (소변량 증가???)

기관지평활근 이완

- β₂ 효능제 사용

 

아드레날린성 길항제(반대작용)

 

α 차단제의 임상적용

고혈압

: α₁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관을 확장 (주로 Minipress)

 

β 차단제의 임상적용

교감신경 작용을 차단

서맥(느린맥)

산소 요구량 감소

혈압 저하

부정맥, 협심증. 고혈압 치료에 사용

 

• β₁, β₂ 수용체 모두 차단 : propranolol

• β₁ 수용체 차단 : metoprolol

• α, β 수용체 모두 차단 : labetelol

 

 

기관치천식 환자에게 사용 금지

• β 차단제의 사용 중에는 심전도와 혈압을 정기적 측정!!

 

 

 

 

 

 

D 부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

 

콜린성 효능제

부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은 두가지로 분류

- 수요체에 작용하는 콜린성 효능제

- 분해효소를 억제해서 acetylcholine을 축적하고 작용을

항진시키는 anticholinesterase

*

: 효소

 

acetylcholine의 약리작용

장운동 항진

교감신경 작동의 반대작용

- acetylcholine 자체가 치료제로 사용되는일은 드물다

(그럼? 어떻게 사용?

cholineaterase 억제하는 약물 = anticholinesterase를 사용해서 분해가 안되도록해서 acetylcholine 농도를 높임

사용시 효과 장운동 항진, 소화선의 분비 증가, 서맥, 동공축소와 같은 교감신경 작용과 반대로 작용 )

 

콜린성 효능제의 임상적용

수술 후, 분만 후 장운동 잘 안될 시

: 장운동을 정상화 시킴 (bethanechol, neostigmine )

소변을 못 볼 때

: 배뇨를 항진 시킴

중증근무력증

: edrophonium cholinesterase 억제제

녹내장

: 안압을 낮추기 위해 항콜린에스테라아제(pilocarpine) 약물로 방수를 유출 시킴

 

항콜린성 효능제(부교감 억제)

항콜린성 제제의 약리작용

tubocurarine

: 근육에 있는 니코틴 수용체를 차단시켜 근육을 이완시킴

 

항콜린성 제제의 응용 (주로 위궤양 치료에 사용!!)

소화관, 요관, 담관의 경련

: 진경작용에 따라 평활근을 이완시켜 담석이나 요로결석에 의한 통증을 없앤다.

마취전 투여

: 마취 시 기도분비(기도 막을수 있음)를 억제(scopolamine)

*scopolamine는 패치형태로 귀미테와 같이 나옴 4시간 이후 효과 나옴 미리 붙이기!!

산동

: 눈동자를 확장시키기 위해 (aropine)

*aropine 사용시 반감기가 길어 운전 금지!!!!!!

기관지천식, 폐기종 등 기도의 폐색증

: 항콜린성 제제로 기도를 확장시켜 호흡곤란을 개선

소화성궤양

: 위산분비를 억제

중독의 처치

: 농약에 중독되었을 때 (아트로핀!!! 중요한 치료제)

기타

: 파킨슨병의 치료 (trihexyphenidyl)

 

E 근이완제, 국소마취제

근이완제 (보통 진통제와 같이 사용)

골격근은 acetyl-cholined이 분비되어 수축 일어남 이런 수축을 억제하는 약

- 신경-근접합부에 작용해서 기능마비하는 약물

- 근세포의 수축기전의 장애를 일으키는 약물

-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골격근의 이완을 일으키는 약물

척수성근경직 (bachrofen)

 

근이완제는 전신마취 할 때도 사용

tubocurarine

골격근의 수용체를 차단해 근이완을 가져옴

(마취시 근이완, 기관 삽관시, 골절이나 탈구의 복구시 사용)

(남용시 호흡근 마비!!!)

succinylcholine

: 전신마취, 요로결석 통증시에도 사용

baclofen

: 척수성 근강()직에 효과 있음

 

국소마취제

: Na통로를 막아 신경마비를 일으킴 간단한 수술 주로사용

마취 방법

표면마취

침윤마취

신경마취

척수마취

: 복부나 하지의 수술에 사용

경막외마취

: 통증관리 시, PCA 달 때

(경막외강에 국소마취제(lidocaine)를 주입)

*lidocaine : 항부정맥제로도 사용, 국소마취제 가장많이사용

 

경막외마취제로 사용되는 morphine(마약성 진통제)

: 12~14시간동안 지속, 수술 후 조기 진통법(PCA 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