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student :: '2학년'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약리학 각론 - 3장 면역치료제

2학년/약리학|2022. 5. 10. 19:15
반응형

면역기전

: 신체에 이물질이 체내에 들어오면 방어기전

- 자가면역질환 : 면역기전의 과잉

- 기화감염 : 면역기증의 저하로 감염증이 악화

자연면역계

: 체내에 침입한 세균에 대해 자연면역계 작동

(대식세포, 호중구와같은 포식세포, 보체, 옵소닌화, 비만세포, 호염기구, 사이토카인 등)

획득면역

능동면역 : 예방접종

수동면역 : 항독소

 

A 면역반응의 구조

T 세포 : 세포성 면역

(대식세포, 세포독성T 세포, 자연살해세포 활성화 시켜 세포가 직접공격 하게 함)

B 세포 : 체액성 면역

(항체생성으로 혈액에 떠다님 직접 공격 X)

 

특이적 면역억제제

cyclosporine

- 사이토카인의 합성 억제

이식 시 거부반응을 방지

복용 시 혈중농도를 꼭 체크해야함!!! Why?, 고칼륨혈증

 

비특이적 면역억제제

azathioprine

DNA 합성을 억제

심장이식 후 거부반응 억제

 

약물교육

면역억제제는 백혈구 감소, ,신장장애 등 부작용 초래 할 수 있어 일어나면 곧바로 주치의에게 연락한다.

개인적으로 감량 및 중지 X

감염을 일으키기 쉬워 유의해아함

 

C 면역강화제

능동면역

처음 접종시 면역 바로 생기지 X

한 번 더 접종을 받아야함

두 번째 접종시 면역이 더 빨리 생김

 

수동면역

투여와 동시에 면역 생김

투여 후 점차 감소(초기가 가장 높음)

항체가 바로 필요한 경우 투여

 

D 예방접종약

 

생백신 (live vaccine)

: 살아있는 병원체에 독성만 약하게 만든 것 (임산부투여 X)

ex) 폴리오, 홍역, 풍진, 유행서이하선염 백신 등

사백신 (killed vaccine)

: 열처리나 fomalin으로 죽인 미생물 (누구에게나 접종O)

ex)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이본뇌염, 인플루엔자, A형간염, B형 간염

톡소이드 (toxoid)

: 독소의 항원성을 유지한채로 무독화 한 것

ex)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및 파상풍 톡소이드

반응형

댓글()

약리학 각론 - 2장 항암제

2학년/약리학|2022. 5. 10. 19:11
반응형

 

A 암 치료에 관한 기초사항

 

항암제의 분류

분류 항암제
알킬화제 cyclophosphamide
대사억제제 methotrexate
5-fluorouracil
항생제 bleomycin
성호르몬 및 성호르몬 길항제

 

 

항암작용의 구조

항암제 : 암세포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기전

세포주기 특이성 약물

: 종양세포의 활발한 분열 반복을 특정 분열주기에 작용

ex) 대사억제제 DNA 복제기(S)에 최대효과!!

세포주기 비특이성 약물

: 왕성한 분열하는 세포에도 효과적, 느린 속도로 분열하는

종양세포에도 효과가 있음

ex) 알킬화제

 

*G: 세포성분의 합성인 이 시기에 항생제 사용!!!

*G: DNA 합성에 필요한 효소 합성인 이 시기엔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사용!!!

*M: 유사분열인 이 시기는 vin(빈크리티? 나중에 나온데)

 

항암제 부작용

: 부작용 없는 항암제는 없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소량씩 병합해서 사용한다.

 

암세포 근절을 위해 화학요법 반복

 

 

 

 

 

약물내성

 

획득내성

: 처음에 효과가 있었으나 투여가 지속되면서 내성이 생김

P-당단백질

: 항암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내성을 가져옴

 

치유적 화학요법

: 수술 후 약물을 통해 단계적으로 치유

치료적 화학요법

: 수술 X 약물을 통해 단계적 치유

완화적 화학요법

: 수술 X 약물을 통해 증상 치유목적 X, 완화 목적 O

, 일시적인 증상 완화

 

B 항암제 각론

 

알킬화제

: DNA 자체에 결합하여 알킬화를 통해 복제를 억제함

 

cyclophosphamide

- 생체 내에서 대사되어 활성화

부작용 : 골수억제

 

대사억제제

: DNA 또는 RNA의 합성을 억제하여 항암작용 함.

핵산합성에 작용하는 효소반응을 억제로 정상적인 DNA, RNA 합성을 억제

methotrexate

세포주기 S기에 작용

부작용 : 골수억제

5-FU

 

항생제

: DNA 이중고리에 깊게 삽입되어 DNA, RNA 합성을 억제

 

bleomycin : G기에 특이적으로 반응

 

 

식물 알칼로이드

vincristin : 세포 분열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추체의 합성을 억제

 

성호르몬 및 성호르몬 길항제

Nolvadex : 유방암에 사용

 

기타

cisplatin : DNA에 작용하여 복제를 억제

 

암성 통증의 치료

: 암 환자는 통증치료가 매우 중요!!! (5원칙)

 

간결한 경로로 투여한다

 

통증의 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고른다

 

투여량은 환자별로 다르게

 

시간을 정해 규칙적으로 투여

 

세심한 배려를 한다.

반응형

댓글()

약리학 각론 - 1장 항감염증약

2학년/약리학|2022. 4. 24. 19:00
반응형

A. 감염증 치료에 관한 기초<p.72~76>

 

향균작용의 원리

선택적 독성 : 향균제는 병원 미생물과 인체 세포의차이를 목표로 작용을 나타냄

(각각 연관된 향균제 기억)

세포벽 합성 억제

penicillins

cephalosporins

엽산대사 길항

설파제

핵산합성 억제

Quinolones

Rifampin

단백질 합성 억제

aminoglycosides

Tetracyclines

세포막 투과성 변동

항진균제

 

항균제 범위

향균범위 : 어느 정도 종류의 세균에 유효한지 범위

협역성 약물 : 극히 제한된 미생물에만 작용

ex) isoniazid는 항상균 (대표적;결핵균)에만 유효

광역성 약물 : 매우 많은 종류의 세균에 유효

ex) tetracycline

기회감염 : 광역성 항균제 투여는 정상세균총(우리 몸속에서 정상적으로 살아가던 세균)에 영향을 미쳐, 칸디다처럼 일상적으론 억제되있던 특정 미생물 증식으로 감염증 일어남

최소억제농도(MIC) : 향균제가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최소농도

 

약제저항성

: 처음에는 향균력 나타남 But, 시간이 경과되고 많이 사용함에 따라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생김

 

발생 기전

약제 분해하는 효소 생성

약제 구조를 변화

약제의 투과성을 저하

항생물질의 오용이나 남용은 피해야 한다!!!

 

사용할 항균제의 선택

- 급성 중증환자의 경우 세균의 배양검사 기다리지 않고

광역성 약을 투여하고 검사결과가 나오면 재검토를 한다.

 

시간 의존성 약, 농도 의존성 약

시간 의존성 : 혈중농도가 일정이상 장시간 지속될수록 임상적 효과가 높아지는 것 (나누어 투여)

ex) β-lactams

농도 의존성 : 혈중농도가 최고일 때 향균효과 높음

(고용량으로 한 번에 투여)

ex) aminoglycosides, quinolones

정균제, 살균제

정균제 : 세균의 증식을 정체시킴

ex) chloramphenicol 투여

살균제 : 균을 박멸시킴

ex) penicillin 투여

약물의 주요 배출경로

담도계 감염증 : 담즙으로 배출되는 약물

요로 감염증 : 소변으로 배설되는 약물

 

 

B. 항균제 각론<p.77~86>

 

페니실린계 항생제(penicillins)

-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시킴

- β-lactam(베타락탐계) 특징

- 세균 세포벽에 존재하는 페니실린 결합단백질을 불활성화

<p.77 그림1-5>

<p.78 그림 1-6>

 

협역 페니실린류(narrow(좁은) spectrum penicillins)

페니실린 G

<장점>

- 향균역은 좁지만 그람양성/음성균, 매독에 효과적,

- 강력한 향균력

- 안정성이 높음

<단점>

- 경구투여시 위산에 의해 활성을 잃음

- 신장으로 빠른 배출 때문에 효과 오래가지 않음

 

페니실린 분해효소 저항성 페니실린류

- 페니실린 G가 널리 사용되면서 페니실린 저항성 균이 치료에 있어 문제가 되어 왔음.

- 페니실린 화학구조에서 CO-N 사이를 끊으면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의 효력이 상실됨

- ex) β-lactamase라는 효소에 의해 끊어짐

- penicillinase를 생성하는 저항성 균에는 methicillin을 사용 But, 이 또한 메티실린 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처럼(다제 저항성균) 발생으로 감염증 치료 힘들어짐 원내감염의 원인

 

광역 페니실린

ampicillin : 소화기감염이나 요로감염에 사용

 

cephalosporins 계 혹은 유사항생제

페니실린과 아주 유사한 화학구조, β-lactam 고리모양으로 효소(ase붙은 효소명칭)으로 인해 CO-N 사이 끊어져 효력을 잃음

 

1세대

: 많이 사용하지 않음, 예방효과?

 

2세대

: 그람음성균에게 효과 있음

 

3세대 중요

- 그람음성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가짐

- 기회감염을 방지를 위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함.

- cefrazidime는 수막염의 1차 선택약이다.

- ex) cefotaxime, cefriaxone

 

4세대

: ex) maxypime, cefepime pime로 끝남

 

cephalosporins계 공통 유해작용

: 알레르기, 소화기(오심, 구토) 증상, 혈액응고 기능 장애, 간기능 장애나 신독성이 있음

 

aminoglycoside계 항생물질

- 분자 속에 아미노당이 들어있음

- 그람음성간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 보임

- 약물로서는 항결핵균, 항녹농균 작용을 함

streptomycin : 항결핵제와 병용되어 결핵 치료에 사용

gentamycin : 녹농균에 효과 있음

arbekacin : MRSA에 대해 항균력이 높음

 

tetracycline 계 항생물질

- 항균력이 넓고 다른 항생물질이 잘 안 들으면 사용

minocycline : MRSA 감염증 치료에 사용

 

tetracycline 계 공통적인 주의사항

- 간이나 신장기능 장애 일으키기 쉬움

- Ca, Mg, Al, Fe을 함유한 제산제 및 철제와는 병용 X

  Why? : 금속과 결합해 흡수하기 어려운 상태로 됨

- 대량으로 투여시 태아나 유아의 치아와 뼈에 축적되어 변색되거나 발육에 지장

- 정맥 내 투여시 정맥염 일으킬 수 있음

- 고령자 경구투여시 식도에 그대로 남아 궤양 조심

- 임산부나 수유 중에 사용 X

 

macrolide 계 항생물질

- 그람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향균작용

- tetractcline, chloramphenicol에 비해 유해작용 적음

 

erythromycin

: 간에서 약물대사 효소를 방해로 digoxin, warfarin, theophyline(기관지 확장)의 작용 높이므로 주의 필요

clarithromycin

: Helicobactor pylori 감염증의 항균제로 사용

 

기타항생물질

vancomycin

: MRSA 감염증의 치료제지만 이 또한 저항성의 장구균인 VRE의 존재 발견으로 저항성 균 늘지 않게 신중하게 사용

 

MRSA 감염증에 사용 약물
aminoglycoside arbekacin
tetracycline minocycline
기타 vancomycin

 

합성 화학요법약

quinolone계 항생제

- 화학합성으로 만들어진 항균제

- 세균의 DNA 복제를 하는 효소를 방해

- 향균력이 넓고 부작용이 적다. 사용량 증가

- ex) norfloxacin, ofloxacin, enoxacin, cyfloxacin

이름 끝에 Cin이 붙는게 특징!!!!

 

설파제(sulfonamides) 이름앞에 sulfa 붙음

sulfamethoxazole

- 유효혈중농도가 오랫동안 유지됨.

- 화농성 질환이나 소화기 감염증에 치료에 쓰임

 

sulfamethoxazoletrimethoprime의 복합제

- 엽산 합성효소를 억제시키는 항균력 가지고 있음

 

sulfadiazine : 화상 및 욕창 치료에 사용

sulfasalazine : 궤양성 대장염 치룡 사용

 

 

 

 

C. 특수한 감염증의 치료제<p.87~93>

 

항결핵제

 

항진균제

심부 진균증 : 소하기에 기생하여 증식

- 원인 : 칸디다

표재성 진균증 : 피부, 모발, 손톱에 걸림

- 원인 : 피부사상균(무좀)

 

amphotericin

- 모든 진균증에 효과

- 칸디다의 이상증식에 효과

miconazole

griseofulvin

- 무좀 치료 약물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의 작용점 ★★★기억★★★

바이러스 세포에의 흡착, 침입, 탈외피의 억제

바이러스 DNA/RNA 합성 억제

바이러스 단백질 합성 억제

바이러스 특유의 효소 억제

바이러스 입자 프로세싱 과정 억제

 

반응형

댓글()

약리학 총론 - 약은 어떤 방식으로 체내를 순환하는가? ~ 약물의 유해작용은 왜 일어나는가

2학년/약리학|2022. 4. 23. 22:16
반응형

C. 약은 어떤 방식으로 체내를 순환하는가?

흡수

: 정맥 내 주사는 100% 체내 흡수 But, 경구 투여는 소화관 점막을 통과하여 혈액 속으로 흡수

 

소화관 점막에서의 흡수

약물은 대부분 지용성

약물은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쪽으로 확산되어 흡수

약물은 pH에 영향을 받음

ex) 약산성 약물은 pH가 산성에 가까우면 흡수 쉬움

약염기 약물은 pH가 알칼리성에 가까울수록 흡수 쉬움

큰 약물을 흡수하는데 소화관에 있는 운반체가 도움을 줌

 

간에서의 대사

간에서 대사 = 일차통과대사

일차통과대사를 거친 후, 투여량에 비교하여 대사를 받지 않은 형태로 순환혈액 중에 도달하는 비율을 생체이용률이라 한다. ex) propranolol

 

분포

혈장 단백질(알부민)과 결합 결합형 약물,

비결합 시 비결합 약물

모세혈관을 통해서 표적세포에 도달

결합형 약물

: 약리활성이 없다(약 효과X), 약물대사 받기 어렵, 비결합 약물의 공급원, 모세혈관 통과X

결합형 약물비결합 약물은 혈중에서 평형관계 유지

간질환에 의해 혈장 단백질 저하,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기 쉬운 다른 약물이 공존 등의 원인 결합형의 비율 ↓ → 비결합형의 약물 ↑ → 약효가 강하게 일어남

뇌에는 혈액 뇌관문(bbb, blood-brain barrier)이 약물의 이동을 제한함

But, 지용성이 높은 약물은 뇌 내부로 들어가 작용 가능

 

약물의 대사

약물대사에는 제1상 반응과 제2상 반응이 있다

1상 반응 :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을 거침(간 대사 후)

2상 반응 : 1에서 형성된 포합물을 소변으로 배설되기 쉬운 형태로 대사

원래의 화합물 보다 대사된 약물작용이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남 전구 약물

 

약물대사의 대표효소 cytochrome P450

 

대사 효소의 증감은 약효에 영향을 미친다

효소유도 효과 저하

효소억제 효과 강하게 나타남

배설

신장으로부터의 소변을 통한 배설

배설 방식에는 사구체 여과와 세뇨관 분비가 있음

신장기능 지표가 되는 크레아티닌 청소율

 

간 등으로부터의 배설

장간순환이 이루어짐

 

생물학적 반감기

임의의 시점의 약물농도가 반이 되는 시점

약물의 혈중농도와 약물 혈중농도 모니터링

TDM(치료약물농도감시)

TDM이 필요하다 여거지는 약물 특징

유효혈중농도의 범위가 좁고 치료수준과 독성수준이 가까운 약물

개인차가 큰 약물

약효와 부작용이 나타나는 약물

간장애. 신장장애, 고령으로 개인화하여 조정하여 투약해야 하는 약물

 

 

 

 

D. 약효에 영향을 주는 인자

연령, 유전형질, 알레르기 반응, 반복 투여, 약물 상호작용

 

약효에 관계되는 약리유전적 형질

유전형질에 따라 약물 대사 형태나 속도가 다르게 나타남

효소활성이 낮은 사람은 약물의 대사가 지연되어 이러한 약물작용이 강하게 나타남

 

약물 알레르기의 원인과 대책

환자에게 문진을 통해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

 

반복투여가 약효에 미치는 영향

약제내성

내성 일으키기 쉬운 약물 : 항암제, 수면제, 마약성 진통제

내성 기전 : 약물대사효소의 유도, 약물 수용체 수의 감소 혹은 감수성 저하, 세포내에서의 약물 배출기전(P-당단백질)의 증가, 세포 내 대사경로의 변경

향균제가 듣지 않는 다제내성균

ex) MRSA 황색포도상구균

 

약물의존

마약성진통제

신체적의존

금단증상

 

약물상호작용

약물 두가지 이상 병용하는 목적

약효를 증강시키기 위해

주약에 의한 부작용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함

대증요법으로 여러 가지 증상의 완화를 위함

ex) 파키슨병의 치료제 levodopa

p.45

 

약물동태학적 상호작용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변질 : 흡수하기 어려운 성질로 바뀐다

ex) 향균제인 tetracyclines계 약물 철, 알루미늄, 칼슘이 들어 있는 약물과 함께 투여 시 흡수 방해한다.

흡착 : 흡착되어버린다

ex) 지질이상증 치료제 cholestyraminewafarin 등과 함께 투여 시 흡착시켜서 흡수를 막음

대사 : 흡수 전에 세포 안에서 대사된다. ex) P450 흡수전 대사시켜 흡수율 저하

P-당당백질 : 소장점막세포에 존재하는 P-당단백질에 의한 세포 밖으로의 약물 퍼내기 장관 내로 배설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일부 약물은 알부민과 결합 만약 약물 결합이 더 강해지면 결합형 약물의 일부는 떨어져나가 유리형(비결합형)으로 바뀜 약물의 작용이 증강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효소유도 : P450 활성도 높임

효소억제 : P450 활성도 억제

식품의 영향 : 자몽주스는 칼슘 길항제의 대사를 억제시켜 그 작용을 증강시킴

 

배설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상호작용

통풍 치료제인 probenecidpenicillin(페니실린)을 병용 시 probenecidpenicillin의 배설을 방해 penicillin의 혈중농도 상승

 

 

E. 약물의 유해작용은 왜 일어나는가?

과량의 치료약이 체내에 축적되는 경우

약물 사용의 유익성 및 유해성에 대한 고려

특정 장기조직에 발생하기 쉬운 유해작용

치료약에 의한 유하작용의 원인

 

 

과량이 일어나는 배경

축적이 일어나는 원인

반감기가 긴 digoxin처럼 반감기가 긴 약물은 축적을 일으키기 쉽다

치료범위와 중독범위의 폭이 좁으면 축적이 즉시 중독으로 이어짐

 

약물치료 시 특히 주의를 요하는 사람들

고위험군 : 신생아. 미숙아. 고령자, 주요장기(, 신장, 심장, ) 장애

 

태아, 임산부 : 임신일 경우 8주 이전은 장기 형성기간이어서 주의가 필요함

 

신장기능장애가 있는 환자

간에서 대사를 하지 않고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는 약물 요중 미변화체

요중 미변화체가 70% 이상일 시 신장기능에 장애가 있으면 반감기가 연장 약효가 지속 혈중농도 상승 치료범위를 넘음

요족증 생체이용률 증가 약물 효과 증가

 

*위의 사항들을 예방하기 위해 신장기능 체크 필요!! 체크를 위한 지표는 크레아티닌 청소율 사용

 

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

 

ex) 간경병증 환자는 대사가 잘 안되어서 중추신경게에 작용하는 약물의 감수성이 향진되므로 약물을 상용량으로 투여해도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증강된다.

 

심부전 환자

- 간이나 신장에서 약물처리 능력이 떨어진다.

강심제 digoxin과 이뇨제인 furosemide의 흡수가 저하됨

 

 

약물 사용의 유익성과 유해성

치료지수 : 50% 유효량(ED₅₀)50% 치샤량(LD₅₀)의 비율

치료지수가 클수록 안정성이 높은 약

치료제의 부작용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가?

수용체가 관계되어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효소가 관여햐여 부작용을 일으킴 p.57~p.60

 

반응형

댓글()

약리학 총론 - 약물치료가 지향하는것 ~ 약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2학년/약리학|2022. 4. 22. 02:41
반응형

CHAPTER 1 약리학 총론

A. 약물치료가 지향하는 것

 

(1) 약을 사용하여 병을 치료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2)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 요구하는 기본적 성질은 어떤 것인가?

(3) “병을 치료한다는 것은 약물의 효과(약효)에만 의존하는 것인가?

 

약에 의한 병의 치료

: 신체의 기능이 생리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서 정상보다 항진되거나 혹은 저하된 상태

: 병적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에 가까워질 수 있게 하는 화학물질

약물치료 : 생리적 기능 저하 시 촉진

생리적 기능 항진 시 억제

위 두 기능을 이용하여 몸의 기능이 정상범위에 위치하기 위함

 

생체기능은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조절됨

약물의 부작용이나 유해작용의 가능성!!

 

약으로서의 기본적 성질

세포의 특정 장소에 결합

수용체 : 체내의 생리적 활성물질(ex,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사이토카인 등)이 특이한 결합을 하여 최종적으로 세포기능(ex, 수축, 분비, 대사 등)의 변화를 일으키는 단백질

 

효능제 (agonist)

수용체와 결합하여 본래의 활성물질과 동일하게 작용

길항제 (antagonist)

수용체와 결합하여 본래의 활성물질 결합을 방해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는 약은 없다.

약 작용의 강약이나 부작용의 발현은 약의 흡수, 대사 및 배설 능력의 차이랑 연관

약 부작용은 다양하고 부작용 기전이 명확하지 않는게 많음

부작용에 대한 발현의 예견, 조기 발견, 투약의 가감(증가나 감소)이나 처치 등을 적절하게 행해야 함

 

약의 사용 목적

원인요법 : 병의 원인을 제거 목적

ex) 병원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 항생물질 치료

보충요법 : 몸 안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부족한 물질(호르몬 등) 대체 물질을 외부로부터 보충

ex) 당뇨병 인슐린 주사

대증요법 : 병에 의한 증상 억제

ex) 감기약 감기의 각각의 증상에 대한 약

질병예방 : 감염이나 알러지 증상에 대한 예방

ex 예방백신, 예방목적 항알레르기제

 

약물요법에 있어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 (p.7)

약물오용의 방지

안전한 약물요법을 이행하기 위해 준수해야 할 5가지 확인사항 (5- Right)

Right Patient 환자를 잘못 알고 있지는 않은가?

Right Drug 투여할 약에 잘못은 없는가?

Right Dose 약물 투여 용량이 정확한가?

Right Time 투약 시기에 잘못은 없는가?

Right Route 투여 방법이 올바른가?

 

 

 

부작용이나 유해작용의 발견과 예방

특히 주의해야 할 대상

치료 범위가 좁은 약을 사용중인 환자

(치료 범위 좁으면 위험 약물 넓을수록 안전한 약물)

알레르기 소인이 있는 환자

약의 대사·배설 경로인 간이나 신장에 질환이 있는 환

많은 약제를 동시에 사용 중인 환자 등

 

낙상을 일으키기 쉬운 약물

수면제, 항히스타민제(알러지 약)

 

혼동되기 쉬운 약제명의 예

Amaryl : 당뇨병 --- Almarl : 고혈압

 

약의 명칭

일반명 : 세계 공통명칭-유효성분의 이름

상품명 : 시판명

 

복약에 관한 환자 지도

복약방법을 환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환자의 임의로 약의 중단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위험에 대한 지도

 

환자나 그 가족에 대한 치료내용의 설명

환자나 가족을 격려

치료에 대한 보충설명

환자의 상태를 의사에게 전달

 

좋은 치료는 환자나 가족의 이해와 협력하에 이루어짐

 

B. 약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약리학(pharmacology)

약력학 : 화학물질인 약물이 몸속의 수용체와 어떻게 결 합하여 어떠한 순서로 그 작용을 발휘하는가에

대한 연구

약물동태학 : 약의 흡수, 체내분포, 생체 내 변환, 배설 등에 관한 연구

 

임상약리학

사람의 약물치료에 관한 연구

약물의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내고, 의료사고를 예방하 고, 약이 체내에 어떻게 효과를 보이는지 연구

(1) 약물의 활동(약리작용)은 생리 기능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2) 약의 작용점인 수용체에서 약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

(3) 약의 투여방법에 따라 약의 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약리작용의 기본 형식

 

흥분작용 vs 억제작용

항진(흥분작용) 혹은 저하(억제작용)을 통해 정상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를 본래로 돌리는 역할

 

ex) Epinephrine (adrenalin)

심기능 흥분작용 : 심장박동수 증가, 심근 수축강화

혈액 박출량 증가 (강심작용)

기관지평활근 긴장 억제작용 : 기관지평활근의 긴장 저하, 수축된 기도 확장 호흡용이

 

직접작용 vs 간접작용

직접작용 : 약물이 직접 몸의 기관에 작용하여 기능을 변 화시키는 것

간접작용 : 결과적으로 다른기관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

 

ex) Digoxin

직접작용 심장에 대한 약리작용

: 심근 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 (강심작용)

간접작용 이뇨작용

: (직접작용)위의 결과, 혈액의 체내 순환 개선

: 신장의 사구체에서도 혈류량과 여과량이 늘어남

소변량의 증가

 

국소작용 vs 전신작용

국소작용 : 약물이 적용된 장소에 한정하여 약리작용

전신작용 : 약이 흡수되어 전신에 걸쳐 약물작용

 

ex) 향균성 항생물질인 aminoglycoside계 약물

복용 시 : 흡수되지 않아 소화기관에 머물며 향균작용

근육 주사 시 : 흡수되어 전신에 향균작용

 

투여경로에 따라 국소, 전신작용을 나타낸다.

 

 

치료작용 vs 부작용

치료작용 : 본래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약리작용

부작용 : 치료용량에서 나타나는 치료효과와 관계없는 작용, 혹은 치료에 부적합한 작용

 

약의 치료범위와 작용점

 

조직 상호간 정보의 중요한 전달 시스템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각각의 계통의 자극 (정보) 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물질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사이토카인

 

정보전달의 공통적인 형식

전달물질과 표적세포의 특정부분(수용체)이 선택적 결합하여 표적세포의 활동이 일어남

 

약은 적절한 치료범위가 있다.

약물 혈중농도가 치료범위에 머무를 경우 치료효과 얻음.

혈중농도가 치료범위 넘어가면 약물중독 됨.

치료범위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름

경구투여 혈중농도는 개인차가 크고, 같은 용량 복용에 도 혈중농도에 큰차가 있는 약물도 있음.

 

약은 수용체에 도달해야 비로소 작용을 발휘한다.

4가지 기억차이?기억?

수용체 : 주어진 정보의 선택 및 그것의 형태를 변화시켜 세포 내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단백질

 

. 신경계 전달물질 수용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 내분비계 호르몬 수용체

스테로이드 호르몬 인슐린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수용체 = G 단백연결 수용체

교감신경 말단으로부터 norepinephrine 방출 세포막 관통하고 있는 에피네프린 수용체와 결합 G 단백질 활성화 2 전령물질(세포 내 정보전달 물질을 생산하는 효소)

작용함 세포반응

 

G 단백질 매개로 제2 전령물질 생산

생리활성물질 : 에피네프린, 히스타민, 세로토닌, 안지오텐 신, 프로스타글란딘 등

 

아세틸콜린(니코틴성) 수용체 = 이온통로 수용체

운동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방출 골격근 세포막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 이온통로가 열림 양이온인 나트륨(Na+)이 유입 근수축(양이온이 들어와서)

 

아미노산의 GABA 수용체 (중추신견계의 세포막에 있음)

염산(Cl-) 이온 통로를 열어 Cl-가 세포내로 유입 진정작용(ex, 수면제, 항불안제 등)

 

`인슐린 수용체 = 효소 수용체

췌장의 란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 분비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 효소반응 세포반응(포도당이 조직으로 반입, 세포의 증식, 글리코겐 생산)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 = 효소 수용체

부신겉질의 당질 코르티코이드 세포막 통과 세포질 내에서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와 결합 복합체 형성 DNA 상의 특정 부위에 결합 (특수한 단백질 ex, 사이토카인, 효소 등을 생산 촉진이나 억제)

 

이온통로의 개폐에 의해 효과를 나타내는 약

 

세포 내외의 전위차 유지

- 세포막(인지질의 이중층구조)로 분리

- 전해질 이온 자유로운 이동 X

 

전위 의존성 이온 통로

- 아세틸콜린 수용체 = 독립된 이온통로

- 이온통로는 근세포(아세트틸콜린 수용체), 신경세포(GABA

수용체) 들의 활동과 깊은 관계

ex) 칼슘 길항제 (협심증, 부정맥, 고혈압 치료제)

심근, 형괄평활근 수축을 위해 칼슘이온통로가 열려 Ca²유입 필요, But 유입 차단시 심근활동 억제, 혈관의 긴장 저하로 혈압의 저하의 결과를 가져옴 칼슘 길항제

 

효소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약

: 특정한 효소(무언가를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생리적 환경 변화

ase, enzyme, 효소 효소에 작용하는 물질들

ex)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

신경에서 방출된 아세틸콜린 콜린+ 아세테이트로 분해

이 효소(콜린+ 아세테이트)의 억제제는 아세틸콜린 분해 방해 시냅스에서 아세틸콜린 농도 높임 중증근무력증과 같은 근육이 힘이 빠진 상태를 약물투여로 수축(긴장) 상태로 만듬

 

 

다른 구조로 효과를 나타내는 약

 

운반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세포막에 있는 운반체는 특정한 물질을 세포 내로 운반 ex) 우울증치료제

핵산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약의 투여 경로

 

경구투여의 특징

쉽고 안전하다.

주사에 비해 효과가 느리고 효율성이 낮음

반복 투여에 의한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 가능

위산이나 식사 내용물에 흡수 속도 영향 받음

간장()에서 대사되지 못한 일부만 전신 효과 발휘

계속 먹을 시 약물의 효과 감소 가능

 

주사에 의한 약물투여

정맥주사

- 가장 일반적인 주사방법

- 빠르게 전신으로 즉시 작용

- 회수가 어려워 오용에 의한 위험성 매우 높다

- 혈관에서 약물이 세어나갈 수 있고 그 주위 조직이 염증이나 괴사 가능성 있음

동맥주사

혈관조영

척수강내 주사

- 3·4 요추의 사이에 약물 주입

요추마취시 주로 사용

 

흡입에 의한 약물 투여

흡입마취 : 기체인 마취약을 호흡기계로 흡입해 폐포로 흡수되어 중추신경에 작용

현탁액, 드라이 파우더도 요즘 사용

환자가 스스로 하는 경우가 많아 흡입횟수(흡입량) 조절 관련 엄격한 지도 필요

 

외용에 의한 약물투여

피부도포

- 혈중 약물농도 유지하는 제제 연구 활발하게 진행 중

직장내 투여

- 좌약을 직장에 삽입하는 방법

- 효과발현이 빠르고 간에서의 최초 통과효과(대사)를 피할

수 있음.

점안, 점비, 질내 투여 : 국소적 효과를 고려한 외용법

 

반응형

댓글()

수술 후 간호

2학년/기본간호학 실습|2022. 3. 10. 23:12
반응형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1.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를 줄이기 위함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X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절차에 대해 협조를 구함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의 전파를 줄이기 위함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IV PCA 관리 교육

6. 대상자에게 IV PCA 적용의 목적고 ㅏ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절차에 대해 협조를 구함

 

7. IV PCA 적용부위의 피부를 확인한다

》 정맥주사에 통증 발적 부종 염증등의 증상 및 징후 없이 깨끗한 상태여야 한다

 

8. IV PCA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주입펌프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이 주입된다

-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한다

》 과용량의 진통제 주입을 방지

 

9. IV PCA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 마약성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지식을 제공

 

JP Drain 혹은 Hemovac 관리

10. 대상자에게 배액관 적용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처치의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절차에 대한 협조를 구함

 

11.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의 전파를 줄이기 위함

 

12.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 미생물의 전파를 줄이기 위함

 

13. 배액이 잘 되고 있는지, 배액관이 꼬이거나 접혀있지 않은지, 막힌 부분이 없는지 배액관을 확인한다

》 배액이 원활하게 하기 위함

 

14. 배액관 삽입 부위 dressing 상태를 확인한다

》 배액관 삽입부에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함

 

15. 배액관 위쪽을 잠근 후 흡인백을 안전하게 잡고 주의 깊게 마개를 연다

》 배액관의 위쪽을 장에서 배액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

 

16. 흡인백의 내용물을 눈금이 있는 측정컵에 옮겨 담는다

》 배액의 역류로 감염이 유발 될 수 있으므로 배액물을 비울때 가능한 한 뚜껑에 안쪽을 만지지 않음

 

17. 소독솜으로 배출구와 흡인백 마개를 닦고 사용한 소독솜을 곡반에 버린 후 흡인백을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닫는다

》 입구로의 미생물 유입을 방지하고 감염원을 차단한다. 상처 흡인백에 음입 후 흡인액이 생긴다

 

18. 배액관 위쪽의 잠금잠치를 열어서 배액 여부를 확인한다

》 배약량이 30ml 이하일 때는 배액관을 제거한다

 

19. 배액용 측정컵에 담긴 배액양상을 확인한다

》 x 

 

20. 배액물을 오물배출구에 버리고 측정컵을 물로 행군다

》x

 

21. 장갑을 벗어 의료폐기물 용기에 버린다

》 x 

 

22.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x

 

23.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함

 

24.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x 

 

 

수술 후 간호를 위한 교육내용

- Pain 사정 및 처방전

- 진통제 투여 후 가족하고 IV PCA 작동법 교육

- 배액관 관리방법 교육

- 십호흡 연습

- 기침 연습

- 체위 변경 연습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 조기이상을 권장하는 이유

- 심호흡 : 무기폐 및 폐렴 방지

- 기침 : 잭담을 제거

- 조기이상 : 합병증 방지

 

수술 후 대상자가 수술실에서 지니고 온 배액관을 관리할 때 숙지해야 할 주의사항

- 줄이 당기지 않고 움직일 때 꼬이지 않도록 옷에 잘 고정되어야 한다

- 배액 주머니는 항상 음압이 유지되도록 눌러서 압축시켜 놓는다

- 항상 배액부위보다 주머니가 아래로 가도록 한다

- 배액 주머니가 빵빵해졌을때는 간호사를 호출한다

 

IV PCA의 적응증과 목적

- 목적 : 수술 후 통증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

- 적응증 :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며 환자 자신의 조절 능력이 있는 경우 노인, 젊은 환자 모두에게 적용 가능 

반응형

댓글()

수술 전 간호

2학년/기본간호학 실습|2022. 3. 10. 11:17
반응형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1.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을 제거하여 병원의 감염을 방지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 절차 수행을 위함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 불안 감소, 협조 구함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위함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정확한 대상자에게 올바른 처치 위함

 

6. 대상자에게 수술동의서 작성여부를 확인하고, 수술에 대해 대상자가 정확히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

》 주치의가 동의서를 받은 후 간호사에게 작성내용 완전 여부와 대상자의 이해도를 확인

 

7. 수술에 대한 불안을 사정하고 필요 시 불안 완화간호를 실시한다

》 수술에 대한 불안 감소

 

Incentive spirometer 사용방법 교육

8. 대상자에게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심호흡은 폐를 충분히 확장 시킬 수 있고 기침은 객담의 배출을 촉진함

 

9. 대상자를 좌위/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 횡경막 아래로 내려 폐확장 범위 증가

 

10. Incentive spirometer 사용법을 설명한다

- 최대한 숨을 내쉬고 호스를 입에 문다

- 최대한 깊게 숨을 들이마신다

- 지표가 기준선에 3~5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강화 폐활량계는 심호흡을 유도하여 무기폐 예방 감소를 위한 것임. 시범은 효과적인 교육 방법 폐확장 필요압을 목표로 정함. 

 

11. 대상자가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해 보도록 한다

》 X

 

12. 대상자의 최대 흡식량을 확인하고, Indicator로 지정한다.

》 과환기와 피로를 막음

 

13.  수술 후 사용빈도, 수술부위 지지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 5~10회 반복한다

- 시간에 10분씩 사용하도록 설명한다

- 심리적으로 지지해준다

》 과다환기로 인한 두통과 어지러움을 막기 위함

 

수술부위 피부준비

14. 대상자에게 수술부위 피부준비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피부 감염 증상이나 열이 있을 경우 감염 위험성이 증가

 

15. 커튼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준다

》 X

 

16.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 미생물 전파를 줄이기 위함

 

17. 제모제 피부 민감성 반응검사를 한다

- 피부에 소량의 제모제를 바른 후 일정시간 동안 그대로 둔 다음 피부반응을 확인 한다.

》 제모제에 대한 개인의 피부 민감도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18. 피부반응 확인 결과 발진이 없으면 누운 자세에서 복부를 노출시킨다

》 X

 

19. 제모제를 수술부위 전체에 바르고 문지르지 않도록 한다.

》 X

 

20. 제품설명서에서 제시하는 시간이 지난 후에 제모제를 닦아낸다.

》 적정시간 초과시 지나친 자극으로 피부손상될 수 있음

 

21. 일회용 장갑을 벗는다

》 X

 

22.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위함

 

23. 수술부위 제모 여부를 확인한다

》 X

 

24. 필요한 경우, 샤워를 하도록 설명한다.

》 향균 비누로 샤워해 수술 후 감염 위험성 낮춤

 

25.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X

 

주의사항 설명

26. 전일 금식 및 장준비를 하도록 교육한다

》 전신 마취로 인해 위괄약근 이완시 위 내용을 식도 기관으로 이완되어 흡인의 위험성이 있음

 

27. 의치나 보철기, 보청기, 악세서리, 속옷, 안경, 콘텍트렌즈, 화장 등 제거, 흔들리는 치아 확인, 수술 가기 전 소변보기 등을 교육하고 확인한다.

》 화장을 지워 수술 중 후 조직 관류를 사정하기 쉽게 하기 위함

.

28. 귀중품은 병원 규정에 따라 보관함에 넣고 잠그거나 가족이 보관하도록 설명한다

》 X

 

29.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X

 

30. 손을 씻는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함

 

31.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X

 

수술 전 간호를 위한 교육내용

- 대상자 및 가족에게 수술일자, 장소, 수술 예상 시간 등을 알려줌

- 수술 전 대상자가 받을 절차 설명

- 수술 전 투여 약물이 중단되거나 변경됨을 알림

- prn 진통제나 자가 통증 조절 펌프 등 통증 조절법 설명 

- prn 수술 후 발생할 상황 설명

 

Incentive spirometer의 정확한 사용법과 목적

- 목적 : 심호흡을 유도 해 무기폐 예방

사용법

- 최대한 숨 내쉬고 기구 세운 후 마우스 피스 물림

- 숨을 깊게 들이마심

- 들숨의 강화 폐활량계 목표 기준선에서 3~5초 유지

- 마우스 피스를 뺀후 입술을 오므린채로 날숨

 

수술 전 피부 준비의 목적과 내용

- 목적 : 피부는 미생물이 성장, 증식하기 좋은 부위로 적절한 피부 중에는 수술후 감염을 줄임

- 수술전날 저녁 향균비누로 목욕하는 것이 수술 후 상처감염 예방

- 일반적으로 수술부위의 가장자리까지 시행

- 삭모 필요시 : 제모제 제모크림은 AST후 시행

 

수술 시 반드시 필요한 수술 전 준비

- 신분인식 팔찌

- 금식상태

- 수술부위 유형

- 적절한 기록, 업무

- 귀증품 위치

- 도뇨/ 관장

- 알레르기

- 수술 전 약물 투여

- 적당한 옷

- 정맥주사 혈관 확보

- 수술동의서 작성

- 혈액형

반응형

'2학년 > 기본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맥 수액 주입 술기 및 이론적 근거  (0) 2023.06.12
수술 후 간호  (0) 2022.03.10
근육주사  (0) 2022.03.09
피하주사 (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  (0) 2022.03.08
피내주사 (전완의 내측면)  (0) 2022.03.07

댓글()

근육주사

반응형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1. 손을 씻는다

》 세균의 전파를 막는다

 

2. 투약처방과 투약원칙을 확인한다

》 투약카드에 따라 정확하게 약물을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대상에게 정확한 약물 투여가능

 

3. 근육주사에 필요한 약물을 정확한 용량 및 방법으로 주사기에 준비한다

》 약물의 유효기관과 용량을 확인하여 투약사고를 예방한다

 

4.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으로 절차 수행 가능

 

5.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불안감소, 체온측정 절차에 대해 협조를 구할 수 있다

 

6.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기회를 줄인다

 

7.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위한 대상자 확인절차

 

8. 약물의 투여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한 다음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 대상자가 본인이 투여받는 약물을 잘 알고 있으면 약물요법을 더욱 잘 따르게 된다

 

9. 커튼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준다

》 대상자의 프라이버스 보호

 

10. 대상자의 상태와 약물용량에 따라 적합한 주사부위를 정한 후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주사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주사 부위를 선정한다 (둔부의 배면, 둔부의 복면, 대퇴, 삼각근 중앙)

》 자세는 주사하고자하는 부위에 따라 앙와위, 측위, 복위, 좌위를 취하도록 도와주되 영야와 아동은 체위유지를 위해 부모님의 도움을 받는다. 적절한 체위를 취해주면 주사부위의 근육이 이완된다.

 

11.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12. 선정된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정도 둥글게 닦아낸 후 소독약이 마르면 투약카드를 보고 약을 확인한 후 한 손으로 주사기를 집어 올려 주사바늘 뚜껑을 제거한다

》 피부의 세균수를 감소시키기 위함

 

13. 주사바늘을 90도로 유지한 다음 주사기로 선정된 주사부위 근육을 재빨리 찌른다

》 주사바늘의 경우 근육 깊이 도달하게 하여 신속한 주사는 대상자의 통증을 감소한다

 

14. 피부를 잡았던 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주사기 하단부를 잡고, 주사기를 잡았던 손으로는 주사기의 내관을 살짝 뒤로 당겨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주사기 내관을 당겨보던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내관을 밀어서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

》 천천히 주입하면 약물이 조직에 분산되어 흡수되고 대상자의 통증과 불편함이 감소된다. 주사바늘의 연결부위는 가장 잘 부서지는 부위이므로 부러졌을때 꺼내기 쉽게 1~2mm를 남겨둔다.

 

15. 약물 주입이 끝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누르면서 주사바늘 삽입할 때와 같은 각도로 주사기를 재빨리 빼서 트레이에 놓고 소독솜을 댄 채로 주사부위를 마사지한다.

》 주사부위를 눌러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스며들어가는 것을 최소화 한다. 잡은 각도로 바늘을 제거하면 조직의 열상을 막는다.

 

16. 소독솜을 트레이에 놓고 환의를 입힌 후 대상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해준다.

》 주사부위를 더 압박하는 것이 권장되기도 한다.

 

17. 주사 후의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 대상자가 이상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8. 커튼을 걷는다

》 X

 

19.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주사침 찔림 등의 사고 예방과 함께 병원의 교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20. 손을 씻는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21.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투약 후 즉시 기록하여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것을 방지한다

 

 

영아, 소아, 성인, 노인의 근육주사 부위

- 영아 : 가장 많은 근육량을 가지고 있는 대퇴근 외측

- 소아 : 예방접종시 삼각근 대퇴근 전외측 보행으로 발달되는 근육

- 성인 : 모든부위 가능

- 노인 : 삼각근

 

근육주사의 금기 대상자 혹은 금기 상황

- 접촉시 통증, 경결 있는 부위, 피부 찰과성, 신경이나 골조직 손상부위, 화농, 괴사부위, 약물이 조직괴사를 일으키는 경우, 혈액응고장애, 순환기계쇼크, 혈액량감소, 근위축대상자

 

Z-track 기법에 대한 설명과 전용 약물

- 피하, 피부 조직에 심한 손상을 주는 약물을 주사하기 위해서이다

- 전용약물 : iron dextran, peeniailm

 

부적절한 근육주사 행위로 초래될 수 있는 부작용

- 근 수축으로 인해 관절이 지지와 고정이 안됨, 피부착색, 근육주사 맞은 부위의 감각마비, 운동기능 소실이 올 수 있음

반응형

'2학년 > 기본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 후 간호  (0) 2022.03.10
수술 전 간호  (0) 2022.03.10
피하주사 (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  (0) 2022.03.08
피내주사 (전완의 내측면)  (0) 2022.03.07
경구투약  (0) 2022.03.05

댓글()

피하주사 (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

반응형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간이 혈당 측정 검사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 절차 수행 기능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고 체온측정 절차에 대해 협조를 구할 수 있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입니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6. 대상자에게 혈당측정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고 절차에 대해 협조를 구한다

 

7. 대상자의 손가락 끝을 채혈하기 적절한지 확인한 다음 소독솜으로 닦아 말린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입니다.

 

8. 채혈기에 채혈침을 끼워 대상자의 피부상태에 맞도록 삽입 깊이를 조절한다.

》 피부상태에 맞지 않게 조절하면 삽입이 되지 않거나 깊게 삽입된다

 

9. 검사지를 꺼내 혈당측정기를 준비한다

》 효과적 절차 수행 기능

 

10. 손가락 끝부분의 측면에 채혈기를 놓고 채혈침이 피부를 순간적으로 천자하도록 버튼을 누른다

》 손가락 옆쪽면이 통증에 덜 예민하다

 

11. 천자 부위는 혈액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게 한 다음 혈액방울을 검사지에 묻히고 천자부위는 소독솜으로 눌러준다.

》 천자부위는 짜거나 압력을 주어 혈액이 나오면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2. 혈당측정기의 모니터에 나온 수치를 확인하고 메모한 후 대상자에게 설명해 준다.

》 대상자가 자신의 혈당수치를 알게한다

 

13.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병원의 교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함

 

1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15. 혈당 기록지에 혈당 측정치를 기록한다

》 효과적 절차 수행 기능

 

피하주사

16. 혈당측정치에 따라 R-I scale에 따른 투약할 인슐린 양을 확정한 후 투약카드를 준비한다

》 효과적으로 절차 수행 가능

 

17.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18. 투약처방과 투약원칙을 확인하여 정확한 양의 인슐린을 주사기에 준비한다

》 투약카드에 따라 정확하게 약물을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약을 투여 가능. 약물의 유효기간과 용량을 확인하여 투약사고 예방 

 

19.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으로 절차수행 가능

 

20.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기회를 줄인다

 

21.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이다

 

22. 준비된 약물의 투여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 대상자에게는 알 권리가 있으므로 대상자가 본인이 투여받는 약물에 대해 잘 알아야 하며 그럴 시 약물요법을 잘 따르게 된다.

 

23. 인슐린 주사 부위 기록지를 보고 주사 부위를 선택한 후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 동일부위에 계속 주사하면 지방 비대로 인해 단단해질 수 있다.

 

2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25. 주사 놓을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정도 둥글게 닦는다

》 피부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 알코올 솜으로 주사부위를 닦는 기계적 동작은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피부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알코올이 피부내로 들어가면 통증이 발생한다

 

26. 주사 바늘 뚜껑을 제거하고,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주사부위 주변의 피부를 팽팽하게 잡고, 주사바늘을 45~90도로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삽입한 후 약물을 주입한다.

》 주사바늘은 느슨한피부보다 팽팽한 피부에 더 잘 관통하며 피부를 두 손가락으로 잡아 올리면 피하조직이 위로 올려져 통증의 민감성을 줄임. 주사바늘을 빨리 주입하면 불편감이 감소되는데 이는 압박된 부위로 주입된 약물이 신경섬유층을 자극하기 때문임. 비만인 경우는 피하층 위에 지방층이 있기 때문에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주입되게 깊게 삽입.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정확하게 투여되게 하기 위함

 

27. 주사바늘을 재빨리 뺀 후 주사기는 트레이에 넣고, 주사기를 빼낸 부위는 소독솜으로 살짝 눌러주되 주사부위는 마사지 하지 않는다

》 신속히 빼내는 것은 조직의 손상을 막기위함. 인슐린의 경우 약물이 조직속으로 천천히 흡수되도록 마사지 하지 않는다.

 

28. 인슐린 주사부위 기록지에 주사시행 사항을 기록한다.

》 효과적 절차수행가능

 

29.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주사침 찔림 사고예방과 병원의 교차감염을 막기 위함이다

 

30.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31.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 투약 후 즉시 기록하여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것을 방지하고 투약 거절이나 보류된 경우 반드시 기록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대표적인 피하 주사 용제

- 인슐린

- 헤파린

- 예방주사백신

- 수술전 처치약물

- 마약

 

피하주사의 목적과 적응증

- 목적 : 근육주사나 정맥주사보다 약물 흡수를 느리게 하고자 하는 약물의 투여를 위함

- 적응증 : 예방주사, 수술전 처치약물, 인슐린, 헤파린 등의 약물 투여 위함 

 

피하주사 부위

- 상완외측후면, 대퇴전면부, 하복부, 견갑골 등

 

Insulin과 Heparine 피하 주사 이후 문지르지 않는 이유

- Insulin : 인슐린이 빨리 흡수되어 저혈당 초래 가능

- Heparine : 출혈이나 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사부위를 문지르지 말고 주사부위를 교체한다

 

피하주사시 최고 약물의 흡수 용량

- 15ml

반응형

'2학년 > 기본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 전 간호  (0) 2022.03.10
근육주사  (0) 2022.03.09
피내주사 (전완의 내측면)  (0) 2022.03.07
경구투약  (0) 2022.03.05
간헐적 위관영양  (0) 2022.02.28

댓글()

피내주사 (전완의 내측면)

반응형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2. 투약처방과 투약원칙을 확인한다

》 투약카드에 따라 정확하게 약물을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약을 투여할 수 있다

 

3. 주사기로 주사용 증류수 5ml룰 앰플에서 빼낸다

》 바이알에 들어있는 약물을 녹이기 위함이다

 

4. 약물이 든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닦는다

》 투약할 약물의 소독상태를 확인한다

 

5. 바이알에 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 5ml를 멸균적으로 주입한다

》 200mg/ml의 비율로 증류수를 주입한다

 

6. 바이알에 들어있는 분말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기포가 생기지 않게 조심스럽게 바이알을 흔든다.

》 빨리 흔들면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흔든다.

 

7.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다시 닦는다.

》 투약할 약물의 소독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8. 1ml 주사기로 바이알에서 0.1ml의 약물을 빼내 총량 1ml로 희석한다.

》 약물의 희석농도는 약물의 종류와 기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9. 주사기 약물 중 0.9ml는 버리고 나머지 0.1ml를 다시 총량 1ml로 희석한다

약물의 희석농도는 약물의 종류와 기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0.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 절차 수행 기능

 

11.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고 투약 절차에 협조를 구한다

 

12.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줄여 감염기회를 줄인다

 

13.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이다.

 

14. 대상자에게 피내주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충분한 설명은 주사로 인한 불안과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15. 적절한 피내주사 부위를 선택한다 (전완의 내측면)

》 전완의 내측면인 경우 대상자의 팔을 침대 바닥면이나 침상의 탁자의 바닥면 위에 바로 펴서 얹은 후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16. 대상자의 팔을 침대나 침상 밑 탁자위에 바로 펴서 얹은 다음 편안한 자세로 있게 한다

》 주사부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주사부위를 고정시킨다

 

17.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기회를 줄인다

 

18. 주사 놓을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은 다음 소독액이 마를 때까지 잠시 기다린다

》 피부의 준비물을 제거하기 위함. 피부를 당겨주면, 주사바능리 쉽게 피내로 삽입된다.

 

19. 한 손으로 주사부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 피부를 당겨주면 팽팽한 피부에 주사바늘이 통과하기 쉽다.

 

20. 다른 손으로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하여 주사기가 피부와 10~1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잡은 다음 표피 아래 진피층에 주사바늘의 사면이 들어갈 때까지 피내에 삽입한다.

》 주사바늘의 사면을 위로오게 하면 진파 아래조직에 약물을 투여하기 쉽다.

 

21. 주사바늘의 사면이 피내로 삽입되고 나면 피부를 잡아당겼던 손으로 주사기의 밀대를 밀어 피부에 직경이 약 5~5cm 정도의 낭포가 생길 때까지 약물을 서서히 주입한다.,

》 낭포가 생기는 것은 진피에 약물이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함

 

22. 주사바늘을 빼낸 후 주사바늘이 빠져나온 부위로 약물이 나와 물기가 생긴 경우는 마른 소독솜으로 살짝 닦아낸다.

》 마사지하는 압력 때문에 주입된 약물이 다른 조직으로 분산되거나 주사바늘을 찔렀던 부위로 약물이 빠져나올 수 있다.

 

23. 작은 낭포의 둘레를 볼펜으로 동그랗게 표시한 다음 주사약명과 투여시간을 적고 주사부위는 마사지 하지 않는다.

》 마사지 할 시 약이 터져서 반응검사를 제대로 할 수 없다.

 

24.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주사바늘은 뚜껑을 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주사침 찔림 사고예방과 병원의 교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함

 

25.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를 막는다.

 

26. 15분 후에 주사부위의 피부반응 결과를 판독한다

》 약물반응 양성/음성 여부를 판단한다

 

27.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투약 후 즉시 기록하여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것을 방지한다

 

 

피내주사를 적용하는 사례

-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 반응을 알아볼 시에 한다

- ex) 결핵반응검사, 항생제의 감수성 검사, 알레르기 반응 검사

 

투베르쿨린 스킨 테스트(Tuberculine skine test) 결과반응

- 음성 : 검사액을 주사한 곳에 아주 작은 융기가 돋았거나 융기가 생기지 않는다.

- 양성 : 검사액을 주사한 곳에 일정한 크기의 융기가 생긴다. 

 

투베르쿨린 스킨 테스트(Tuberculine skine test 후 대상자의 주사부위와 간호기록지에 반드시 남겨야할 기록

- 대상자 주사부위에 주사 약명과 투여시간을 적고 간호기록지에 5right, 피부반응검사결과, 투약목적과 대상자 반응을 작성해야 한다.

 

피내주사 부위

- 전완의 내측면

- 상완의 측후면

- 심흉부

- 등상부

반응형

'2학년 > 기본간호학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주사  (0) 2022.03.09
피하주사 (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  (0) 2022.03.08
경구투약  (0) 2022.03.05
간헐적 위관영양  (0) 2022.02.28
안전간호  (0) 2022.02.26

댓글()